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주박물관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문경새재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곡산연씨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효자문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사인암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부여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각연사
- 선돌
- 충북의 문화재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청원구(淸原區) (219)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국동리는 경주김씨 판도판서공파의 세거지입니다.이 마을은 고려말 판도판서를 역임한 김장유를 파조로 한다.판도판서공파10대손이며 충암공의 4대손인 증동지중추부사 김진현(1618~1695)이 이거하여 공의 15대손 까지 세거하고 있다. 김인석의 처 김해김씨의 정절을 기리기 위해 고종31년(1894)에 국동리 마을입구에 세운 정려문입니다. 국동리 마을입구인 정류장 바로뒤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도 좋습니다. 정려와 함께 묘지도 자리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정려각은 1980년에 중수한 건물로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입니다. 사면은 홍살로 막았으며 안에는 학생김인석지처김해김씨지려(學生金仁錫之妻金海金氏之閭)라고 적혀있으며 고종31년 갑오명정이라는 편액과 송덕문이 걸려있습니다. 송덕문은 김홍윤이 서하고 밀양인 이원영이 ..
내수읍 비상리에 자리하고 있는 초계인 백음 변경복의 효행사적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백음초계변공휘경복효행사적비(栢陰草溪卞公諱景福孝行事蹟碑)라고 적혀있습니다. 옆으로는 변경복의 효자문과 효자비도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변경복은 조선 중기의 효자(孝子)로 본관 초계. 자 중신(中申). 호 백음(栢陰). 청주 출생이며.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자란 그는 홀어머니를 생전에 잘 봉양함은 물론 사후에는 시묘(侍墓)와 제사를 드림에 있어 지극한 예를 갖춤으로써 그 효성이 조정에 알려지고 그 향리에 효자정문(孝子旌門)이 세워졌다. 청주의 국계서원(菊溪書院)에 제향되었습니다.변경복(卞景福)의 행실이 옛 강혁(江革)의 효행과 같다고 조정에까지 알려져 1602년(선조 35)에 정려가 내려졌다. 정문(旌門)은..
의사청은공유적비(義士淸隱公遺蹟碑)입니다. 내수읍 저곡리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저곡리는 전주이씨들의 집성촌입니다. 이건손(1426~1458)은 조선초의 인물로 본관은 전주입니다. 호는 청은이며 서호(거정)의 제자로서 서거정이 호서어사로 제수되자 그의 종사관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세조가 즉위하자 그는 스승인 서거정과 함께 벼슬을 버리고 이 곳 저곡리로 낙향하였습니다.그 후 단종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을 듣고 그의 스승인 서거정과 함께 영원레 가서 사흘밤을 노숙하면서 단종의 죽음을 애닲아 하였다.그 이듬해에 또 가서 통곡하고 돌아와 10월24일 사망하니 그 날이 단종의 첫기일이었다.스승인 서거정 또한 같은날에 사망하렸다고 한다. 의사 청은공유적비옆으로 있는 제단비입니다. 제단비 윗쪽 야산에는 전주이씨 선대들의 묘..
나사종은 조선 전기의 충신입니다. 조선 성종 때 여진족의 침입을 막다 전사하여 충신으로 추앙된 인물이다. 본관은 안정(安定)이며, 자는 광원(光遠), 호는 퇴수헌(退修軒)이다. 시조(始祖) 안천부원군(安川府院君) 나천서(羅天瑞)의 6세손이며 나유선(羅裕善)의 셋째 아들로 청주 출신이다. 효성이 지극하고 학행과 무술이 뛰어났으며, 특히 궁마에 능하고 의협심이 강하여 그릇된 일을 보면 참지 못하는 장부의 기개가 있었다. 청년기에 문무에 힘써 닦은 그는 충청도관찰사 성준(成俊)의 천거로 발탁되어 1486년(성종 17) 경흥부사(慶興府使)가 되었다.여진족들이 자주 변경에 침구하여 약탈을 하므로 나사종(羅嗣宗)은 임지에 부임하여 군사를 조련하고 조산보(造山堡)를 개축하게 하여 임전태세를 갖추는 한편, 목민들을 잘..
조선 중기의 효자(孝子). 본관 초계. 자 중신(中申). 호 백음(栢陰). 청주 출생.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편모슬하에서 자란 그는 홀어머니를 생전에 잘 봉양함은 물론 사후에는 시묘(侍墓)와 제사를 드림에 있어 지극한 예를 갖춤으로써 그 효성이 조정에 알려지고 그 향리에 효자정문(孝子旌門)이 세워졌다. 청주의 국계서원(菊溪書院)에 제향되었다. 효자비각 옆에는 효자문과 함께 변경복의 효행사적비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변경복 (naver.com)의 묘갈명 변경복 비홍리(飛泓里)는 청주(淸州)의 치소(治所) 북쪽 30리에 있다. 독실한 행실이 있는 사람인 변경복이 살았었는데, 뒤에 정려(旌閭)가 세워지자 그곳을 지나는 자는 경의를 표하고 묻지 않아도 저절 terms.naver.com
조선 전기 청주지역의 효자·학자.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자는 중신(仲申)이며, 호는 백음(栢陰)이다. 청원군 내수읍 비상리 출신이다. 세종 때 예문관제학을 지낸 변효문(卞孝文)의 4세손으로, 아버지는 변충남(卞忠男), 할아버지는 변승종(卞承宗), 증조할아버지는 변심(卞鐔)이다.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와 성장하였으나 어머니를 봉양함이 지극하여 생전의 봉양과 사후의 알묘(謁廟)·봉제(奉祭)가 모두 주위의 예를 찾기 어려울 만큼 특별하였다. 일찍부터 벼슬을 멀리하고 은거할 뜻을 가지고 있었다. 음악으로써 근심을 잊고 경전 탐구에 몰두하며 덕과 의를 존중하니 원근의 선비들이 청주 신항서원의 원장으로 추대하였다. 형 변경수(卞景壽)와 함께 신항서원의 설립과 운영에 참여하여 원장을 지내기도 하였다. 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