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사인암
- 각연사
- 문경새재
- 충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부도
- 오블완
- 법주사
- 밀양박씨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사과과수원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한독의약박물관
- 단지주혈
- 효자각
- 선돌
- Today
- Total
목록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383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충청북도 충주시 대소원면 매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송순의 처 문화유씨 열녀문이다. 송순의 처 문화유씨는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네 살 난 외아들을 두었는데, 남편을 청나라 오랑캐에게 잃고 쫓기는 몸이 되자 어린 외아들을 몸종에게 맡기며 가문의 혈통을 잇도록 해달라고 부탁하고 절벽에서 몸을 던져 절사(節死)하였다. 이에 문화유씨의 절개와 부덕을 기리고자 1640년(인조 18) 정려가 내려졌고, 1701년(숙종 27) 현판을 하사받아 보관하다 1954년 강음송씨 종중에서 열녀문을 건립하였다. 충주시 대소원면 남쪽에 위치한 매현리의 팔송산 아래 장성백이마을에 위치한다. 장성백이마을은 매산과 수현이 갈라지는 분기점에 있다. 1954년 건립 이후 시멘트 사각기둥 위에 재건을 하여 초기에 건립된 모습을..
초평초등학교가 자리하고 있는 터가 예전에 지산서원의 자리이다 그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인지는 몰라도 초평초등학교의 강당의 이름이 지산관이였다. 왜 강당의 이름을 지산관이라 이름하였을까에 대하여 그 유래를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지산서원이 자리햐였던 동네라 하여 서원..
충청북도 진천군 출신의 일제강점기 유학자 김긍현의 장학비이다. 김긍현(金肯鉉)은 진천군 초평면 금곡리 금한에서 출생한 유학자로,1923년 초평초등학교 설립 당시 4,000평의 부지를 기부하여 학교 설립에 공이 큰 인물이다.일제에게 나라를 빼앗긴 상황에서 후학들의 백년대계를 위해 김긍현의 뜻을 전하기 위해 세운 비라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초평초등학교 정문 앞에는 1974년 동문들이 뜻을 기리기 위해 세운 장학비가 있다 [금곡리 대바위마을에 있는 김긍현의 불망비이다]
일제강점기 시절 충청북도 음성군 출신의 행정가입니다. 이준성은 1890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읍 본대리에서 이순형(李舜衡)의 아들로 출생하였으며, 본관은 여흥(驪興), 호는 만오(晩梧)이다. 1931년부터 8년간 충청북도 음성군 금왕면의 면장으로 재임하면서 무극교(無極橋)를 가설하여 ..
충청북도 음성군 삼성면 양덕3리에 있는 조선 말기 정운영의 효자각이다. 본관이 초계인 정운영은 일찍부터 공부를 많이 하여 학문이 깊었으나 과거를 보아 출사를 하게 되면 부모님을 봉양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오직 부모님께 효도하기 위하여 과거를 보지 않았다. 어느 해 아버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