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사인암
- 선돌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효자각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단지주혈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Today
- Total
목록2021/07 (6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qm53/btq9wggYNBB/PSmiCYEGgpCgary1iVrE6K/img.jpg)
통정대부김공교희시혜불망비(通政大夫金公敎羲施惠不忘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기묘(己卯)년(서기 1939년) 3월입니다. 김교희는 일제강점기 시절 두모리 출신의 지주로서 당시 소작인들에게 도세를 감면해 주는 등 많은 은혜를 베풀었다. 또한 마을발전을 위해 열심을 내기도 하였다고 한다. 소작인들이 모여 시헤불망비를 세웠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dJNFz/btq9ymnypzP/ppDumv1k7SId3yp0vyZukk/img.jpg)
서원구 장암리에 있는 연꽃방죽을 둘러보고 길을 따라 10여미터 밑으로 가면 개울가에서 커다란 바위를 만날수 있습니다. 이름하여 장수바위 또는 장바위라고 불리우는 바위입니다. 이 바위에는 이 동네 출신인 조선조의 학자 노긍을 기리는 암각자가 있습니다. 암각자에 대하여 많은 사람들이 관심들이 없지만 암각자와 함께 마을 뒷산에 있는 노긍의 묘와 같이 엮어서 이야기가 있는 곳으로 만들어도 참 좋겠다 하는 생각을 혼자 했습니다. 데크 이곳저곳에도 볼거리로 노긍의 한시(漢詩)를 쉽게 풀어 적어 놓는다면 한문을 잘 모르는 젊은세 대에게도 노긍 이라는 사람의 시를 이해하고 그 시절의 시대상 등을 알수 있는 작은 단초가 될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을 했습니다. 가경(嘉慶)무진 하(戊辰 夏)면 1808년이다.1808년여름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9kPfw/btq9B0C6pbA/DPIVWE95YlGuakWrIT9vsk/img.jpg)
수안보면 미륵리사지에서 발굴중인 석불옆에 있는 석조부재입니다. 석불입상의 발굴이 언제까지인지는 몰라도 많은 사람들이 미륵리사지를 찾았다가 그냥 발걸음을 돌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빨리 보수등이 끝났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Ztsf/btq9loewtYX/BBbEMCnQWkM08gDhU3hsx0/img.jpg)
충주 미륵대원지는 신라의 마지막 임금인 경순왕(敬順王)의 아들 마의태자(麻衣太子)가 금강산으로 은둔하기 위하여 가던 도중 창건한 것으로 전하고 있다. 충주 미륵대원지 앞으로 나 있는 고대 교통로는 소백산맥을 넘는 하늘재로 통하는 길목에 해당된다. 따라서 충주 미륵대원지는 오래전에 사찰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통행자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원으로서의 기능도 했을 것으로 보인다. 대원사(大院寺)라는 명문 기와가 출토되기도 했다. 현재 이곳에는 석불입상을 비롯하여 석탑·석등·귀부·당간지주 등이 남아 있으며, 발굴 결과 많은 건물이 들어서 있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재 오층석탑은 석불 앞 사원의 중심에 세워져 있다. 일부 파손되기는 했지만 비교적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다. 사찰이 창건되면 그 중심에 신앙과 예배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z9yRZ/btq9uBjdhI9/ulnKTn6KGqLIV23BK6iQy0/img.jpg)
미륵리사지를 찾으면 언제나 반겨주는 석등입니다. 사각석등으로 보기드문 형식으로 결구되어 있습니다.석등의 석주에 새겨진 이쁜무늬가 참 좋습니다.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미륵리에 있는 고려 전기 사각석등입니다. 충주 미륵대원지는 통일신라시대에 창건되어 고려시대에 사세(寺勢)가 크게 확장된 사찰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의 지표조사와 발굴조사를 통하여 고려시대 번성한 사찰이었음이 확인되었다. 사지에서는 대원사(大院寺)라는 명문 기와가 출토되기도 하여 절 이름을 알 수 있게 되었다. 현재는 석불입상을 비롯하여 석탑, 당간지주, 귀부 등 여러 기의 석조물이 남아 있으며, 석불입상이 봉안된 인공 석굴은 중요한 학술적 자료로 다루어지고 있다. 현재 사각 석등은 오층석탑 옆에 세워져 있는데 원래 위치는 아니다. 미륵리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