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충주박물관
- 상당산성
- 청주박물관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공주박물관
- 각연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곡산연씨
- 사인암
- 선돌
- 문경새재
- 공산성 선정비
- 오블완
- 부도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보성오씨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법주사
- 청풍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단지주혈
- 국립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10 (1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dROo/btrfVrWKHF0/aR4gRY3RkkXvwkQdMkafdk/img.jpg)
청성면 마장리 마을 비석이 모여있는 곳에 있는 빗돌입니다. 자연암석위에 한글로 글자를 새겨 놓았습니다. 김주사성옹공건희불망비 임술년윤오월십구일 이리고 적혀있습니다. 옆에 있는 "땅을 쓸면 금이나온다"라고 쓰여진 비석과 함께 조성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vILN/btrfuOyuAc3/dkjxcrobwxEWrKXi94Qfk0/img.jpg)
구음리 보청천가 비석거리에 있는 비석입니다. 비석에는 염사훈시혜비(廉士薰施惠碑)라고 적혀있습니다. 모든 일에 열심히 노력하며 가난한 이웃에게 구휼을 하였고 종중의 일을 위하여 힘을 쓴 염사훈의 공적을 기렸다.구음리 마을초입 비석거리에 있다. 구비九飛는 조선시대 청산현 서면 구장리九藏里이며 황음 남쪽에 있는 오래된 마을이다. 뒷산 지형이 비둘기가 날아가는 형국에서 유래하였다. 숯가마실은 구비 남쪽 마을로 옛날 에 숯을 굽던 가마터가 있어 마을이름이 유래되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을축년(乙丑年) 4월입니다.비석등의 상태로 보아 일제강점기 시절인 1925년으로 추정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fJUK/btrfU6eqIsq/mZ5lkdNq1okMRcEAH4gFYk/img.jpg)
유원종합부인 경주이씨효열비(劉元鍾閤夫人 慶州李氏孝烈碑)라고 적혀있습니다.거포리 마을초입 동네를 바라보며 오른쪽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전면에는 유원종합부인 경주이씨효열비(劉元鍾閤夫人 慶州李氏孝烈碑)라고 적혀있으며 좌우,후면에는 경주이씨의 효열내력이 적혀 있습니다.비석은 1979년에 10월에 세웠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II2F/btrfWM7SDn9/xBKLFJi6A9RK6YyctEh2B0/img.jpg)
비석의 글자를 잘 알아볼수가 없습니다. 은진인 송간*의 비석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wdQnK/btrfWaumy9l/Tv5MGXcdNyGldKfZSmrnW1/img.jpg)
청성면 소서리 소사마을입구 비석거리에 있는 의원을 지낸 김금순의 기념비 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의원김금순기념비(前議員金今淳記念碑)라고 적혀있습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indqO/btrfXy2COfU/SyB9RQp6NJXBuykOYesyTK/img.jpg)
청성면사무소내는 면사무소 건물을 신축하느라 어수선하다. 면사무소 작은문 화단에 놓여 있습니다. 화단에 풀이 우거져 있어 온전한 모습을 볼수가 없습니다. 마모가 심하다 보존대책이 시급합니다. 면사무소에서도 석탑으로의 제대로된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1개의 옥신석과 2개의 옥개석을 세워 놓았는데, 옥신석 한면에는 기둥을 양쪽에 만들고, 그 가운데는 좌불상을 새겼는데, 오랜 비바람으로 불상은 마멸이 심하다. 석탑은 청성면 거포리 거흠마을 북서쪽 500m 산등성이에 150여 평 되는 절터가 있다. 사람들 은 이곳을 절터골이라 부르고 있으나 절의 이름이나 창건과 폐사에 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이곳에 있었던 석탑의 일부가 청성면사무소 정원에 옮겨져 보존되고 있어 고려시대의 절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