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선돌
- 보성오씨
- 곡산연씨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티스토리챌린지
- 오블완
- 경주김씨
- 효자각
- 부도
- 문경새재
- 사인암
- 화양구곡
- 사과과수원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법주사
- 충북의 문화재
- 청풍문화재단지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문
- 상당산성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Today
- Total
목록2022/11 (6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IsqE/btrRBeGKxjv/SOfqhA9ieaQiGQLjM53PF1/img.jpg)
문의문화재단지내에 있는 청송인 심승택의 비석입니다. 대청댐 건설로 인한 수몰지구에 산재되었던 비석들을 모두 모아 문의문화재단지에 비석군으로 정리하여 놓았습니다. 비석에는 관찰사심공승택영세불망비(觀察使沈公承澤永世不忘碑) 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계해년 (癸亥年)3월로 적혀있습니다. 승정원일기에 의하면 승정원일기 2621책 (탈초본 125책) 철종 10년 11월 16일 신사 22/24 기사 1859년 咸豊(淸/文宗) 9년 忠淸監司沈承澤疏曰, 伏以, 臣頃陳病實, 獲解銓銜, 感戴恩造, 守分調將, 千萬不自意, 伏奉除旨, 以臣爲忠淸道觀察使者, 悸恐震越, 益莫省攸措也。 未敢知聖上奚取於臣, 內而淸選, 外而重藩, 華誥聯翩, 殆若非此莫可者然。 심승택은 조선후기 예조판서, 한성부판윤, 사헌부대사헌 등을 역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FgEBR/btrRaD77WbS/l0HIUtk53kHEaGP4Ve8951/img.jpg)
두평리는 본래 보은군 내북면의 지역으로 지형이 두멍처럼 생겼다 하여 두멍뜰 또는 두평이라 하 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웅장리(熊場里)를 병합하여 두평리(斗坪里)라 하였다. 자연마을 곰 - 쟁이(熊場里)[마을] 두멍들, 서북쪽에 있는 마을 두멍 - 들[마을] 두평리에서 가장 큰마을. 본래 도로변에 있었으나 70년대초 취락구조, 개선으로 현재에 위치로 옮겼다. 두멍처럼 생긴 웅덩이가 있었다고 한다. 두 - 평(斗坪) [마을] → 두평리 북상 - 곡(北上谷)[마을] → 북상골 웅장 - 리(熊場里)[마을] → 곰쟁이 기타지명 곰 - 마당(熊장)[버덩] 곰쟁이 북쪽 윗골 마루턱에 있는 넓고 평평한 마당. 약 2천평 정도됨. 예전에 곰이 놀았다고 전해오고 있으며,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등 옛지리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exhq/btrQ6HJWvg6/4DJiOK2ebuT0nOBdFfW7BK/img.jpg)
화전리는 흑천의 상류지역으로 북으로 도원리와 청주시 낭성면 추정리,청주시가 덕면금거리,동으로 동산·창리,남으로 대안리,서로는 화약공장이 생기면서 사라진 염둔리와 접해있다. 본래 청산현 주성면지역으로 1906년 보은군에 편입되어 주성면 관할이 되었다가,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묵동,수평리,염둔리 일부와 회인군 동면 염둔리 일부를 병합하여 화전리라 하고 내북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부락으로는먹골,무두리,아랫말(하촌),집너머,솔정이 있다.지명으로는 괫들,구렁고개,독작골,말랑들,명박골,명지골,무두리보,무주골,물방골,방아다리고개,살티재,소정펀던,지신덕골,찰방산소,창안산바우,홀팅이골 등이 있다. 면적은5.08km2 로 들이 넓은편에 속하지만,행정구역의 반이상은 산간지형이다.화전1리에29가구48명, 화전2리에 4..
해인사 팔만대장경 옆에 모셔진 한 군인의 위패 (msn.com) 해인사 팔만대장경 옆에 모셔진 한 군인의 위패 내게도 제법 많은 책이 우편으로 온다. 봉투를 뜯다 눈에 확 들어온 자극적인 제목, '해인사는 불타고 있는가?'. 책을 보는 순간 몇 년 전 해인사를 참배했을 때 일이 떠올랐다. 당시 불교의 해양 www.msn.com 합천군 해인사 장경판전에 보관된 팔만대장경. 작은 사진 속 인물은 6·25 당시 해인사 폭격 명령을 거부한 고 김영환 공군장군의 사진입니다.민족의 비극 륙이오사변때 경무대로 부터 해인시를 폭격해서 없애라는 지시를 거부한 지금의 해인사가 존재하도록 한 김영환장군의 위패가 모셔져 있다고 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B06Wo/btrRa3yUJkm/j4AsnT27UD0PRVNTKF73j0/img.jpg)
산외면 내북리 동산마을에 들어서면 마을 공동집하시설이 있고 커다란 느티나무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세탁기가 보급되기전에는 개울가에서 동네아낙들이 모여 빨래를 하는 빨래터기 있곤 했지만 세월의 변화에 따라 그 일을 세탁기가 대신 해주면서 마을의 공동 빨래터도 추억속으로 사라져 갔습니다.동산리에는 다른 동네에서 보기 힘든 공동빨래터가 아직도 있습니다. 조금 변한것이라고는 게절의 변화에 상관없이 비바람을 피할수 있도록 건물안에 공동빨래터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바닥에는 빨래판도 만들어 놓고 평상도 있어 마을의 동네 아주머님들의 모임의 장소가 되기도 합니다. 물이 흐르는 물길에는 스테인레스로 물길을 만들어 깨끗하고 보기도 좋습니다. 동네화합과 마을주민들의 특히 아주머님들의 모임에 구심점 역할읗 하는것 같습니다. 동..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TRFH4/btrQ8Iu2w2P/oulLZyLywnsuwKt5djKvX0/img.jpg)
성암리는 면 소재지로부터 1㎞ 지점인 면의 북쪽에 위치하여 동과 남은 적음리(積陰里), 서는 창리(倉里), 북은 봉황리(鳳凰里)와 접하고 있습니다. 본래 청산현(靑山縣) 주성면(酒城面) 지역으로 성암(聖岩)바위 밑이 되므로, 성암이라 불렀는데 1906년 보은군에 편입 주성면(朱城面) 관할이 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다라 백동(栢洞)을 병합하여 성암리라 해서 내북면(內北面)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 바우 - 밑[마을] 성암리의 중심마을, 바위 절벽 밑에 있는 마을이다. 백 - 동(栢洞)[마을] → 잣나무골 잣나무 - 골(栢洞)[마을] 잣나무골에 있었던 마을. 옛날 전주 이씨(全州 李氏)가 한양에서 낙향하여 은둔생활을 하면서 주위에 잣나무를 심어 잣이 성했다 함. 장승 - 배기[마을] 바위밑에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