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경주김씨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법주사
- 곡산연씨
- 공주박물관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티스토리챌린지
- 상당산성
- 사인암
- 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단지주혈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효자문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3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주덕읍 대곡리 원대곡 석포마을 천안전씨재실앞에 자리하고 있는 천안전씨 입향조 전념의 비석입니다. 천안 전씨의 시조는 환성군 섭(歡城君 聶)으로 백제 시조온조의 개국 10제 공신의 일인이다. 그의 신단은 충남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 태학산에 있으며 규장각 학사 예안 이정렬이 찬한 신도비가 있고 영가 권순영이 찬한 신단비명이 있다. 입향조(入鄕祖) 전념(全念)은 고려조의 문효공신(文孝公信)의 현손이다. 증조는 휘(諱) 성안(成安)으로 고려 충숙왕 때 사의서승(司儀署承)을 역임하였으며 후에 재신(宰臣)이 되었다. 성안에 대한 기록은 수원부사 목은 이색이 지은 운금루 기문(雲錦樓 記文), 신숙주의 중수기(重修記), 목민심서, 고려사에 상세하게 나타나고 있다. 조부는 휘(諱) 덕신(德新)으로 조선 태조 시에 사헌부..
주덕읍에서 요도천을 건너 계막마을로 접어들면서 우사를 지나 좌측 산모퉁이에 있습니다 김극충의 효자문 옆에는 애국지사 김낙인의 송덕비가 자리하고 있으며 뒷쪽동산에는 김극충의 아버지인 김호의 묘가 자리하고 있습니다 김극충의 효행을 기리기 위하여 1742년(조선 영조 18)에 명..
충주의 풍산김씨입향조인 김호의 무덤입니다. 김호의 무덤은 그의 장남인 김극충의 효자문위에 얕은 언덕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묘역에는 신,구비석 각1기씩과 문인석 상석 향로석 장명등등을 새로 만들어 세웠다.무덤은 호석을 두르고 있으며 고양공묘소면례기(高陽公墓所緬禮記)라..
효자비는 원대곡 큰골 서쪽산 능선 끝자락에 서 있다. 화강암으로 만든 효자비는 대석, 비신, 지붕돌로 구성된 일반형이다. 주덕읍 대곡리 원대곡 큰골에 위치하고 있다. 비신 : 56.5×26×159 ㎝ 지붕돌 : 101×71×52 ㎝ 받침돌 : 96×70×5 ㎝입니다.석곡마을로 진입하는 도로에 우사가 끝나는 지점 오른쪽 산기슭에 묘소가 위치하고 있다. 전학동은 조선 말기의 효자로서 자는 명습(明習), 호는 월파(月坡), 본관은 천안이며 전영덕의 아들이다. 천성이 인자하고 부모에게 정성을 다하여 봉양하였다. 10세에 어머니를 여의고 애통한 마음이 가시지 않았다. 성장함에 그 아버지를 효로서 봉양함에 조석으로 안부를 살피고 맛을 보고 공양하고 의복을 갈아드리는데 자신이 직접함에 게으름이 없었다. 또한 장날이면..
조금 더 가까이 다가가고 조금더 깊이(?)있게 살펴보기로 했다. 일정지역을 정해 저인망식으로 살펴보는것도 나름 재미가 있다. 화곡1리 빈정마을 모퉁이에 글자가 암각되여 있다는 정보를 접하고 길을 나섰다. 길을 가다 논길을 따라 들어가면 멀리 양봉통이 보이는 곳이다. 화곡리에서 ..
삼청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시 삼방과 상청의 이름을 한자식 따서 삼청리라 하였다. 삼청리는 현재 청양, 미락, 능촌, 묵동, 삼방의 5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청양은 청량골이라고 부르며 지도상에는 삼청농공단지 지역, 양지말, 평지말로 이루어져 있다. 삼청농공단지는 36번 국도로 인해 청양과는 구분되는 느낌이 들며, 양지말은 하나의 마을로 보기 어려운 점이 있어 평지말이 중심마을을 이루고 있다. 미락은 평지말 남쪽에 있는 마을로 미락골이라고 부른다. 미락골에 속하는 마을로는 속담, 열무개, 절골, 통미가 있다. 능촌은 주덕에서 소이로 이어지는 지방도의 오른쪽에 있는 마을로 보통 능말이라부른다. 옛날부터 능터가 있다고 해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능촌에는 김자점과 관련된 전설이 있으나 믿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