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단지주혈
- 사인암
- 충북의 문화재
- 법주사
- 오블완
- 효자각
- 문경새재
- 효자문
- 사과과수원
- 한독의약박물관
- 밀양박씨
- 상당산성
- 곡산연씨
- 부도
- 화양구곡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각연사
- 선돌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청주박물관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95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어암리를 바라보며 길가에 자리하고 있는 향모정입니다. 고향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 고장 출신 사업가인 윤주한씨가 고향을 위해 지은 정자입니다. 향모정은 고향을 그리워 하는 마음에서 고향을 떠난 오랜 세월뒤에 어릴적 살던 마을에 휴식공간을 만들고 그 마음을 같이 보전하기 ..
미원면 어암리에 있는 이삼례효부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효부전주이씨삼례지비(孝婦全州李氏三禮之碑)라고 각자되어 있으며 후면에는 이삼례여사의 효행기록이 적혀있습니다. 이삼레는 전주이씨 명문대가의 손으로 유년시절 품행이 단정하고 행실이 온유하였으며 16세에 파평윤씨가문에 출가하여 난치병의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함은 물론 남편 또한 병약하여 20여년을 백방구약시탕하며 지극정성을 다하였으나 유명을 달리 하였고 어려움속에서도 7남매를 교자의방하였기에 청주향교의 전교명의 효부상을 1996년 8월에 수상하였다. 자손들에게 어른에 대한 효와 자손에 대한 교육등에 귀감을 삼고자 가족들의 이름으로 1997년에 비석을 세웠다. 어암리는 비교적 평지가 많은 지역이다. 달천이라는 하천이 굽이굽이 흐르고 있다. 자연마을에는 어미,..
금관리는 북쪽에는 학동산이 자리잡고 있다. 북쪽의 산에서 작은 하천이 흘러 내려오고 있다. 자연마을에는 점말, 평상모, 갯골, 가마골, 지풍골, 웃지풍골, 물레동이 있다. 점말(寬洞)은 도로변에 있는 마을이며 평상모는 갯골 서남쪽에 있는 마을이다. 갯골(介洞)은 풍수지리상 개의 모..
미원면 미원리 약물내기 옆에 있는 남양홍문충효정려입니다. 이 충효각은 조선 순조1년(1801)에 청주목 산내이상면 미원리 오늘의 상당구 미원면 미원리 약수터옆에 충효로 지평에 증직된 만은 홍주화(洪胄華 1660~1718)의 정려각에 순조6년(1806)에 충효로 참판에 증직된 그의 할아버지 만계 ..
조선후기의 학자인 주일재 윤승임의 신도비이다. 신도비 뒤로 있는 사당인 숭현사는 조선 숙종 42년(1717)에 괴산군수(傀山郡守) 서계(西溪) 이득윤(李得胤, 1553∼1630), 주일재(主一齋) 윤승임(尹昇任, 1583∼1688), 옥계(玉溪) 박곤원(朴坤元, 1477∼1607), 사헌집의(司憲執義) 만둔암(晩遯庵) 윤사석(尹師晳)의 위폐를 봉안하고 세운 사당이다.
윤사석(尹師晳)은 조선 전기의 선비입니다. 성종 때 사헌부집의를 지냈으나 연산군 때 거듭되는 사화로 현인군자들이 희생되는 것을 보고 가족들과 함께 미원으로 내려와 옥화대 위에 만경정(萬景亭)을 짓고 은거하였습니다. 만경정 앞에 자리하고 있는 윤사석의 유허비와 추모비입니다. 윤사석은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호는 둔암(遯菴)이다. 충청북도 청원군 미원면 옥화리(玉花里)에 은거하였다. 성종 때 사헌부집의를 지냈으나 연산군 때 거듭되는 사화로 현인군자들이 희생되는 것을 보고 가족들과 함께 미원으로 내려와 옥화대 위에 만경정(萬景亭)을 짓고 은거하였다. 이이(李珥)는 ‘그가 평소에 저술한 것들을 은둔생활 중에 모두 불살라버려 후세에 전하는 것이 없으니 애석한 일’이라고 하였다.《동문선》에 그의 시 한 수가 전하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