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보성오씨
- 문의문화재단지
- 각연사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단지주혈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문경새재
- 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선돌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상당산성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충북의 문화재
- 경주김씨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부여박물관
- 효자각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상당구(上黨區) (95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미원면 화창리에 자리하고 이주신씨삼효려입니다. 이 삼효각은 조선 효종6년(1655)에 세운 효자 신협(1605-1691)의 효자각과 숙종9년(1683)에 세운 효자 양일당 신지익(1596-1640)과 그의 아들인 효자 신심(1611-1647)부자의 효자각을 숙종 29년(1703)에 합설한 아주신씨 세 효자의 정려이다. 삼효려 옆으로는 2001년 11월4일에 개축당시 성금을 낸 사람들의 이름과 성금내역이 적힌 돌비가 서있다. 신지익은 대신들이 효로써 천거하니 특별히 조산대부행영숭전참봉(朝散大夫行永崇殿參奉)에 제수 받았으며 금앙서원에 배향되었다.삼효려안에 편액에는 효자조산대부행영숭전참봉신지익지문(孝子朝散大夫行永崇殿參奉申之益之門)이라고 적혀있으며 계해십일월봉교정표(癸亥十一月奉敎旌表)라고 적혀있다. 편액밑에는 ..
동네를 조금 벗어나며 좌측 느티나무 아래에 자리잡고 있는 김해인 김현권의 사은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도인김해김공현권사은비(道人金海金公顯權謝恩碑)라고 각인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뒷면에는 사은비를 세우게 된 동기와 도인 김현권에 대한 내력이 적혀 있습니다. 비석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를 낳아주신 부모가 있고 길러주신 양부모가 있고 무병장수 하도록 보호해 주신 수양부모가 있다. 은성(恩醒) 김해김공과 유인 전주이씨는 우리의 수양부모다. 공의 명은 현권이요 자는 취중이며 갑오생에 경인졸(1894-1950)이다.일찌기 공은 역학에 능통하여 길흉화복을 점괘로 알았고 수많은 병마를 독경으로 물리친 영통력이 있는 도인이다. 어려서 부터 잔병이 많았던 우리들을 무병장수로 보호해주신 그 은공을 갚기위하여..
이득윤(1553 ~ 1630)은 조선시대 『현금동문유기』, 『서계집』, 『서계가장결』 등을 저술한 유학자.역학자(易學者), 음악인입니다.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극흠(克欽), 호는 서계(西溪). 고려말 문신 이제현(李齊賢)의 후손으로, 유학자 서기(徐起)의 문하에서 수학한 뒤 박지화(朴枝華)에게 역학(易學)을 배우고, 1588년(선조 21)에 진사가 되었다.1597년 학행으로 추천되어 희릉참봉(禧陵參奉)이 되었으나 곧 사직하고 독서에 전념하다가 왕자사부(王子師傅)가 되고 이어서 형조좌랑·의성현령을 지냈다. 광해군 때 혼란한 정계를 피하여 고향에 머무르면서 김장생(金長生)·정두원(鄭斗源) 등과 서한을 교환하며 역학과 음악을 토론하였다.음악에 남다른 관심을 두어 고향에 머무르는 동안에 거문고에 관련된 명(..
옥화리의 숭현사는 1989년에 후손들의 의하여 중수하였습니다. 숭현사는 조선 숙종 42년(1717년)에 괴산군수 서게 이득윤(1553-1630) 주일재 윤승임(1603-1687) 옥계 박곤원(1547-1607)사헌집의 만돈암 윤사석의 위패를 봉안하기 위해 세운 사원입니다. 고종8년(1871년)서원훼철령으로 철폐되었다가 19..
미원면 월용리에 있는 오병욱사은비 입니다. 오병욱 선생의 본관은 보성이며 호는 소호 자는 일중입니다. 아버지 오세근과 어머니 하동정씨의 아들로 미원면 월용리에서 출생 하였습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소호오보성오병욱선생사은비(小湖寶城吳炳郁先生師恩碑)라고 적혀있으며 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