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경주김씨
- 사인암
- 선돌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법주사
- 화양동 암각자
- 곡산연씨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효자문
- 보성오씨
- 각연사
- 사과과수원
- 효자각
- 오블완
- 청풍문화재단지
- 충북의 문화재
- 문경새재
- 공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부도
- 상당산성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통합청주시/서원구(西原區) (281)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lQipp/btrruouHOTB/dcbUK8wQYxrm0tn9HkfPh1/img.jpg)
지선정(止善亭)은 조선 광해군(光海君) 2년(1610)에 지선(止善) 오명립(吳名立 , 1563∼1633)이 세운 정자로서 오명립의 호를 따서 지선정이라 하였다. 지금의 정자는 고종 16년(1879)에 중건하고 1932년에 보수한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 홑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내부는 통칸에 2단으로 마루를 깔았으며 안에는 우암 송시열(尤庵 宋詩烈)이 쓴 충효일생 와차강분(忠孝一生 臥此江 )이란 편액이 걸려 있고, 밖에는 수암 권상하(遂庵 權尙夏)가 쓴 지선정(止善亭)이란 편액을 달았다. 지선정은 서쪽에 인접하여 작은 내가 흐르고 주변의 벌판이 훤히 내려다 보이는 언덕위에 세워져 경관이 수려하며, 이곳에서 후학을 양성하는 서당의 기능도 하였다고 전해진다. 층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111호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wjFW/btrrB4WhSgF/JcgF1M5F5sccB4DcUHAnG0/img.jpg)
노봉서원은 광해군2년(1610)에 오시립(吳時立), 오유립(吳裕立), 오명립(吳名立), 보성오씨 일문과 정렴(鄭磏)의 처갓집 자손인 유흥림(柳興霖)이 송인수와 정렴(鄭磏)을 모시기 위해 구룡산 자락 노봉에 건립하기 시작하여 광해군7년(1615)에 완공하고 청액소(請額疎)를 올려 효종9년(1658)에 허락을 받아 현종3년(1662) 사액(賜額, 임금이 현판을 내림, 즉 국가 공인 서원)받았다. 1694년(숙종20) 송준길(宋浚吉, 1706년 검담서원으로 옮김), 1695년(숙종 21) 송시열(宋時烈), 1725년(영조1) 권상하(權尙夏)를 추가 배향하였다가 송준길은 부용면 검시에 검담서원을 지어서 빠져 나갔다. 오시립, 송시열, 권상하가 원장을 하였다. 그러나 1871년(고종 8)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gynl/btrrDwkJU5a/7ZblyV92DITIu4OeM6gxGk/img.jpg)
중삼리는 면 북단에 위치한 마을로서 동은 죽전리, 남은 시목리, 북은 상삼리, 서는 부용면 노호리, 등곡리와 경계한다. 마을 동쪽에 진로와 카스맥주 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약 80여 세대에 14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본래 문의군 이도면의 지역으로 중삼거리 또는 중삼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삼리라 하고 청주군 현도면에 편입되어 있고 보성오씨와 밀양 박씨의 집성촌이다. 이 효자각은 조선 효종 6년(1655)에 보성인(寶城人) 오경례(吳景禮)의 효행을 기리어 나라에서 세운 정려이다. 본래는 중삼리 양촌 마을에 세워졌는데 1980년에 중뜸마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지금의 효자각은 정조 12년(1788)에 중건하고 1980년에 해체복원하여 이건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BMnMB/btrqvVMpsJn/X1watGfTKOGq5sekHpMIzk/img.jpg)
현도면 달계리 남근석옆에 돌보는이 없이 외롭게 서있는 시헤비입니다. 달계리는 보성오씨의 집성촌입니다. 비석의 상태등으로 보아 해방후에 세워진 비석으로 추정됩니다. 주사(主事)라는 호칭이 사용된 시기가 1948년 이후부터 입니다. 비석에는 총탄의 흔적으로 보이는 아픔의 자국도 보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주사오성수시헤비(前主事吳聖秀施惠碑)아고 각자 되어 있습니다. 기근이나 흉년에 동리주민들을 위한 오성수의 공적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비석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leGBp/btrqmdIkcQX/fK6OdSi8BpHm7SMHAfnSW0/img.jpg)
현도면 달계리에 있는 목장승과 기자신앙에서 유래된 남근석(男根石)을 세워놓았습니다. 마을주민들의 아픔과 바램을 빌던 기도처로 이용되던 곳입니다. 도로 가까이 야트막한 야산 기슭에 있습니다. 목장승은 근간에 새로 세운듯 하며 천하대장군,지하여장군이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자신앙에서 유래된 기자석(祈子石)은 아들을 낳기를 원하는 마음을 표현한 것입니다. 남성의 성기를 닮은 남근석을 많이 이용합니다. 달계리는 본면 남부 지방에 위치하며 동은 하석리, 서는 매봉리, 남은 노산리, 북은 선동리에 접한 산촌마을이다. 행정리는 달계1,2,3리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달계리는 본래 문의군 일도면의 지역인데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상덕리, 중덕리, 사기점, 솔골, 제궁촌을 병합하여 달계리라 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JxKjR/btrp95hhlj5/ibkXFnkKqGBKoZbbtDlTy1/img.jpg)
충주댐 수몰지구 유적조사의 일환으로 충북대학교 박물관에서 1982년에 발굴하여 이 곳으로 이전 복원하였습니다. 짝을 이루어 서있는 선돌은 크기와 외형적 특징이 서로 다르며 1호 선돌은 위가 편평하여 여성선돌로 2호 선돌은 위가 뾰족하여 남성선돌을 의미 하고 있습니다. 1호와 2호 선돌을 중심으로 11개의 둘레석이 배치되어 있어서 당시의 중요한 회의장소나 제의 집행지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해석됩니다. 발굴당시 선돌의 바닥에서 구멍무늬토기조각과 붉은간 토기조각이 출토되었습니다. 본동의 서쪽에 느티나무거리에 위치했었다. 강을 향한 여성선돌(180×80×25㎝)과 뒤에 남성선돌(139×65×28㎝)은 황석리 초막골 부처바위에서 떼온 것으로 선돌 위를 부처라 한다.현재 황석리 선돌은 충북대학교박물관 교정으로 이전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