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사과과수원
- 사인암
- 화양구곡
- 각연사
- 화양동 암각자
- 보성오씨
- 공주박물관
- 곡산연씨
- 효자문
- 공산성 선정비
- 단지주혈
- 한독의약박물관
- 오블완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충북의 문화재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경주김씨
- 선돌
- 문의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10/16 (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안내면 도농리에 있는 배천조씨의 재실인 영모재 입니다. 조헌의 사당인 표충사 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영모재永慕齋는 중봉 조헌(1544∼1592) 묘소 아래에 있는 표충사 우측 한쪽에 자리하고 있는데, 중봉 조헌의 제사를 위한 건물이다. 충청북도문화재자료 제75호(2010. 6. 11.)로 지정되어 관리하고 있다. 건물의 규모는 정면 5칸, 측면 1칸 반이며, 팔작지붕 형태의 목조기와 건물이다. 특히 천장은 산속에 입지한 관계로 추운 지역에서 나타나는 고미반자형(일종의 이중지붕)으로 구성 되어 있다. 우측에 자리한 부엌에서는 제사에 쓰일 음식을 장만하였고, 그 옆에 있는 2칸의 방은 제사를 준비하는 문중 사람들과 관계자들이 함께 모여서 대·소사를 의논하던 곳이다. 왼쪽 1칸의 방은 제사에 쓰일 제기를 보..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중기의 문신 권료(權憭)의 묘비. 권료의 본관은 안동으로 자는 언명(彦明)이다. 양촌(陽村) 권근의 증손, 안천군(安川君) 권준(權蹲)의 손자이며 마전군수(麻田郡守) 권념(權念)의 장남이다. 모친은 강화최씨(江華崔氏)로 사재감정(司宰監正) 최저(崔渚)의 딸이다. 음보로 결성현감을 역임하였다. 묘비는 대석을 포함하여 화강암 1석으로 만들었다. 전체 높이 176㎝로, 비신의 높이 116㎝, 너비 61.5㎝, 두께 24㎝이다. 상부에는 12엽의 연화문을 조각하였고, 꼭대기에는 보주(寶珠)의 흔적이 있다. 묘비는 위쪽에 ‘유명조선국(有明朝鮮國)’이라 횡서하고, 아래에 종서로 ‘홍치을축오월졸십월장 통훈대부결성현감권료묘 정덕정묘이월입석(弘治乙丑五月卒十月葬 通訓大夫結城縣監權..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시대 민해준의 효자각입니다.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 된섬이에 큰 바위가 있는데, 민해준의 효행은 이 바위와 관련되어 전하고 있다 민해준이 어머니와 함께 밭에서 김을 매다가 소낙비를 만났다. 이때 비를 피하기 위하여 어머니와 함께 바위 밑으로 들어갔다가 바위가 무너지려 하자 어머니를 밖으로 밀어내곤 자신은 바위에 깔려 죽음을 당하였다. 이 같은 민해준의 효행을 기려 훗날 유림과 동리에서 효자각을 세웠다. 정면 1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기와집으로 ‘효자민해준지려(孝子閔海俊之閭)’라고 쓴 편액이 걸려 있다. 현재 민해준의 후손들은 알 수가 없다. 민해준이 소유하였던 토지 일부만이 남아 있는데, 이를 마을에서 공동 관리하면서 수익금으로 매년 마을 사람들이 제사..
보살사 못미쳐 부도전에 있는 자우당탑의 모습입니다. 紫藕堂塔(자우당탑) 강희무술삼월수제자아립(康熙戊戌三月 受弟子芽立)이라고 음각되여 있다. 강희무술년이면 무술년으로는 숙종44년 강희57년이다.서기 1718년이다. 자우당부도가 세워지고 12년후에 옆에 있는 취봉당부도(영조6년 1730년)가 세워졌다. 당호도 선명하다.자우당탑(紫藕堂塔)이란 이름을 갖고 있다. 부도의 크기는 전체높이 220센티이며 부도의 최대 폭은 90.5센티이다. 부도의 관리상태는 양호하다.부도 주변으로 잡목들이 자라고 있었으나 청주한씨들의 가족묘응 조성하면서 잡목들을 모두 제거하여 접근성이 양호해졌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이부도전은 모른 체 보살사만 둘러보고 가는 경우가 많다. 보살사나 또는 행정관청에서의 안내나 보살핌이 시급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