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효자각
- 밀양박씨
- 각연사
- 경주김씨
- 사과과수원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법주사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화양구곡
- 문의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충북의 문화재
- 사인암
- 청풍문화재단지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선돌
- 효자문
- 상당산성
- 공산성 선정비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문경새재
- 오블완
- Today
- Total
목록2021/10/30 (3)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DVho/btrgWCoyDh6/pRYSy6Wuy3tNJFRWIjdqTK/img.jpg)
금암3리는 용암마을이라고 불리우는 고창오씨들의 집성촌입니다. 금암리는 군동면(郡東面) 용암리(龍岩里)라 불리던 마을이며, 1739년 기록에는 군동면 용암리에 47호가 살았고 1891년 신묘장적(辛卯帳籍)기록에는 55호에서 15세 이상 255명이 살았던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금암리 유래는 마을 뒤에 용암사란 절이 있고 큰 바위들이 용같이 뻗었다 하여 용암말 이라 불렸고 옆마을이 목시, 목쇠인데 목쇠는 목금(木金)으로 목금의 금(金)자와 용암의 암(岩)자를 따서 두 마을의 뒷글자를 합쳐서 금암리가 되었다. 금암리에는 충청북도문화재인 1545년 송정 전팽령이 건립한 양신정(養神亭)과 1765년 유림들에 의해 세워진 목담서원이 있다. 목담서원(鶩潭書院)과 목담서원에 모셔진 사서공 전식 선생의 영정, 명종 때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oqRDS/btrgD4saGwf/3zJAftepqyFO9Fkc6jMeUk/img.jpg)
안내면 현리에 있는 조선조때 전주목사와 전라북도 관찰사를 지낸 김명수의 영세불망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전주관찰사김공명수영세불망비(全州觀察使金公命洙永世不忘碑)라고 적혀 있습니다.김명수는 조선후기 대한제국시대때 지방관 전라도(全羅道) 전라북도관찰사(全羅北道觀察使) 1903[계묘(癸卯)] 11월(十一月)을 지냈습니다. 김명수의 비석옆에는 옥천군수를 지낸 황종림의 비석도 서있습니다. 비석이 서있는 이곳은 사람들의 왕래가 많았던 서낭당자리인것으로 파악이 됩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sXjzt/btrgDTYCBhx/a1RoKbwIDRnR3t2YE6JIg1/img.jpg)
안내면 서대리 서대저수지 밑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장덕산張德山의 처 광산김씨(光山金氏, 19세기 말엽)의 열부비입니다. 광산김씨는 안내면 정방리에서 태어나 안내면 서대리 장덕산張德山에게 출가하였다. 시집을 온 뒤 그녀는 온갖 정성을 다하여 시부모를 봉양하고 남편에게 순종하며 살았다. 그러나 결혼한지 얼마 안되어 남편이 돈벌이를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자, 광산김씨는 남편 몫까지 맡아서 집안일을 하고 시부모에게 효도를 다하며 살았다. 이후 4년 만에 남편이 귀국하였는데 심한 병에 걸려 폐인이나 다름이 없었다. 이때부터 그녀는 남편 간호에 온 정성 을 다하며 집안 살림을 꾸려나가야만 했다. 남편의 병은 십 년을 넘어 계속되었으나, 한 번도 눈살을 찌푸리거나 불평을 하지 않고 십 년을 언제나 똑같이 성심과 정성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