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화양구곡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청풍문화재단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부도
- 문경새재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티스토리챌린지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청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선돌
- 충주박물관
- 곡산연씨
- 충북의 문화재
- 오블완
- 단지주혈
- 사과과수원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공산성 선정비
- Today
- Total
목록2022/10 (5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NYVWw/btrNw9v7qha/oU0sE5ubYXwsZdlua7B6T1/img.jpg)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운동동에 있는 이양호(李亮浩)[1805~1823]의 부인 남원윤씨(南原尹氏)의 열행을 기리는 정려각. 경주이씨(慶州李氏) 문중의 효자 이양호의 부인인 남원윤씨의 열행을 기리기 위하여 1851년(철종 2)에 세운 정려각이다. 청주시내에서 25번 국도를 따라 보은 방향으로 가다 지북교차로에서 좌측의 목련공원길로 약 2㎞ 가량 가면 오른쪽에 경주이씨 국당공파 집성촌인 백운동 마을이 있는데, 마을 입구 왼쪽의 동구나무 옆에 있다. 정면 1칸, 측면 1칸으로 된 이익공 겹처마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이다. 약 70㎝ 가량의 주춧돌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는데 모로단청을 하였다. 주춧돌의 하단부는 자연석을 사각으로 다듬었고 윗부분은 팔각 고주 형태를 띠고 있는데 하나의 돌로 구성되어 있다. 주춧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LLoa/btrNGxhWIpQ/K2wNzwzoPB3D7hynVtAh40/img.jpg)
청천면 도원리 원도원마을 마을회관옆에 자리하고 있는 무릉원석비입니다, 자연석에 힘있는 필체로 무릉원武陵原이라고 적혀있습니다. 무릉원비가 있는 도원리는 중국 무릉도원의 이름을 따서 도원이라는 명칭이 생겼다고 전해진다.앞으로 흐르는 강물과 함께 나즈막한 야산으로 둘러싸인 도원리의 모습을 보면 고개가 끄덕여 지는 이유이다.주위로는 속리산 국립공원인 화양구곡등 자연의 아름다움을 즐길수 있는 많은 절경이 있다. 도원리는 본래 청주군 청천면에 속했으나 1914년 행정구역 폐합(廢合)(廢合)에 따라 어룡리(漁龍里), 중리(中里), 강정리(江亭里)를 병합(倂合)하여 도원리(桃源里)라 이름하고 괴산군 청천면에 편입(編入)되었다. 무릉원 비석은 1980년 홍수가 난 뒤 충북 괴산군 청천면 도원리 마을 앞 하천에서 발견된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sTUg1/btrNUFT7f4T/gfwV6tnT881uIkazxYnkIK/img.jpg)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에 설치하는 것으로, 절에 행사나 의식이 있을 때면 이곳에 당이라는 깃발을 달아두는데, 깃발을 거는 길쭉한 장대를 당간이라 하고, 당간을 양쪽에서 지탱해 주는 두 돌기둥을 당간지주라 한다. 이 당간지주는 양 기둥에 별다른 조각이 없다. 기둥 사이에는 당간을 꽂았던 둥근 받침돌이 2단으로 마련되어 있는데, 그 윗면 가운데에 높히 솟아오른 부분을 두어 여기에 깃대를 끼웠던 것으로 보인다. 기둥 안쪽면에는 아래위로 홈을 두어 당간을 고정시키도록 하였다. 조각솜씨가 세련되거나 정교하지 못하나 간결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고려시대 전기의 작품으로 짐작된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m0UzW/btrNChfDbJU/HBo7z2060737dscvJ52XEk/img.jpg)
미원리 약물내기옆에 자리하고 있는 윤성한반공공적비이다. 비의 전면에는 파평윤공성한반공공적비(坡坪尹公星漢反共功績碑)라고 적혀있다.스테인레스 보호책을 두르고 있다 관리상태등은 양호하다. 비문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팔일오 광복으로 방방곡곡에서는 서광이 비췄고 마음속에는 기쁨으로 가득찼다.그러나 뜻밖에도 국토는 남북으로 갈라졌고 드디오 육이오 참변이라는 동족간의 싸움은 시작되였다.포악무도한 공비들은 이곳 저곳에서 나타나서 선량한 주민들을 학살하고 재산을 파괴하는 등 만행을 일삼아 왔다.이에 분개한 공은 의용경찰대 토벌대장으로써 의용투사들과 함께 미동산,좌구산,무성골,화창등지에서 적을 섬멸 또는 사로잡는 공을 세웠으며 일천구백오십일년 삼월에는 수백여명의 무장공비들을 무찌르고 물리치는 수훈을 세웠으며 지리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EzQU/btrNxaV7enT/FcMQuP4j6r09MJp5dqQ0t0/img.jpg)
청천면 송시열 묘지를 오르다 보면 송시열묘지 못미쳐 우측에 자리한 은진인 송대경의 묘소입니다.망주석 2기가 자리하고 있으며 묘석에는 승훈랑영릉참봉은진송공재경지묘(承訓郎寧陵參奉恩津宋公在慶之墓)라고 적혀있습니다. 송재경과 관련된 기사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송재경은 송시열의 적손으로 송재경과 관련된 청천향약에서 송재경의 지역관심등을 느낄수 있다. 청천향약(靑川鄕約)은 1904년(고종28)에 우암 송시열의 적손인 송재경(宋在慶)이 동리의 아름다운 풍속이 없어짐을 안탑깝게 여겨 지켜야할 내용의 안을 만들어 화양유회(華陽儒會)에 보여 유림(儒林)들에게 내용을 설명하고 토론하여 만들어 시행한 것인데 현재에는 두원리(斗院里) 향약문(鄕約文)이라고 표제를 한 향약이다. 오간동약(五間洞約)은 1843년(헌종9)에 제정..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rDOlO/btrN0C3ZlzZ/I23qyrBZAGZiYvpXXkP86k/img.jpg)
가을 한낮 갈바람이 차다.후루룩 스치는 바람에 섬찟 한기를 느낀다.그리움이 바람을 타고 내 가슴에 머문다.고개숙여 떨어지는 눈물로 그리운 사람의 모습을 그려본다. 오지 않을 듯한 또 하나의 처연함은이별이란 그림자 뒤로 헤어짐을 부르고어쩌지 못해 발구르는 모습으로 떠나는 친구를 배웅한다겉으로는 무표정이지만 가슴속엔 눈물의 강이 흐른다. 헤어지기 좋은 날씨라고 자위하는또 다른 친구의 모습위로 세월은 두껍게 내려앉고친구를 보내고 밤새 숙취로 허덕이는 육신을 위해또 꾸역꾸역 밥숟갈을 집어든다. 삶이란 살아남은 자의 몫.그 몫을 다하기 위해 이렇게 바람좋은 가을날나는 떠나간 친구에게 편지를 쓴다.그리고 밤새 많이도 그리워 해야 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