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선돌
- 단지주혈
- 효자문
- 사인암
- 문경새재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상당산성
- 사과과수원
- 각연사
- 곡산연씨
- 밀양박씨
- 한독의약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화양구곡
- 화양동 암각자
- 청풍문화재단지
- 법주사
- 부도
- 티스토리챌린지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보성오씨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청주박물관
- 국립청주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중원의 향기/충주시(忠州市) (836)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정의] 충청북도 충주 지역의 효부. [활동사항] 김성배 처 전주이씨는 군수 이삼응의 4녀로 태어나서 14세에 김성배와 혼인하였다. 시부모님을 모시고 9년 동안 딸 셋을 낳아 기르다가 남편이 3년간 병석에 있을 때 정성껏 간호했고, 남편이 죽자 같이 죽으려 했으나 사람들의 만류로 뜻을 ..
김극형 신도비는 가금면 봉황리 봉황사가 위치한 능암마을을 바라보며 좌측 산자락에 위치하고있다. 현재는 접근하기도 편하며 주위는 후손들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듯 정리되여 있었다. 김극형은 조선 중기 충청북도 충주 지역에서 활동한 문신이다. 본관은 청풍(淸風), 자는 태숙(泰叔..
충주시 주덕읍 당우리에 있는 홍기원의 공덕을 기리는 비이다.홍기원이 고향 후세들을 위하여 사립학교 터를 희사함에 그 뜻을 기리기 위하여 마을 주민들이 1994년에 홍기원 송덕비를 세웠다.주덕읍에서 국도 3호선을 따라 서울 방향으로 가다가 당우리 쪽으로 우회전한 후 원당우 사거리에서 직진하면 유동 마을회관이 나온다.그 입구에 비가 세워져 있다.대석은 102×40×75㎝, 비신은 77×48×14㎝의 규모이며, 대좌는 화강암을 이용하였고 비신은 반려암을 사용하였다. 비제 글자 크기는 7×6㎝, 뒷면 글자 크기는 1.5×1.5㎝이다. 앞면의 비제는 ‘풍산홍공기원송덕비(豊山洪公起元頌德碑)’라 음각하였다. 뒷면에는 “홍기원 선생은 서기 1896년에 출생하였으며, 이 고장에서 자수성가하신 청빈의 공복으로 탁월한 교양..
덕련리는 성주이씨가 대성으로 있으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장내리·조동·창동을 병합하고 북쪽의 가장 높은 산인 덕련산(德蓮山)[438m, 일명 자주봉산]의 이름을 따서 덕련리라 하였다. 충주군 덕면(德面)에 속하였다가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장내리·조동·창동을 병합하여 덕련산의 이름을 따서 덕련리라 하고 주덕면에 편입하였다. 1995년 주덕면이 주덕읍으로 승격함에 따라 주덕읍 덕련리가 되었다. 삼연정은 1859년(철종 10) 연은 이교면(李敎勉)이 서당을 세워 후학을 양성하던 자리에 1924년 제자 정재호 등 30여 명이 스승의 공적을 기리고 추모하고자 정재호의 호를 따라 삼연정(三蓮亭)이라 이름 지은 정자가 있다. 바로 옆에는 이교면의 생가가 있으며, 이교면의 아버지 첫돌인 173..
장록리는 본래 충주군 덕면(德面) 지역으로 장록개 또는 장록포(長彔浦)라고 하였는데, 『여지도서(輿地圖書)』 충원현조에 의하면, 이 지역은 덕면(德面)의 천서리(川西里) 지역으로 충주관아로부터 북쪽으로 40리 거리에 위치해 있고, .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초처리(草處里), 못안[池內], 새터의 일부를 병합하여 장록리라 칭하고 주덕면에 소속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원래 이 마을은 남쪽 웃다락보에 있었으나 1944년의 대홍수로 수해를 크게 입어 이후 경지 정리를 하고 현재의 위치로 이전되었다. 평야 지대로서 미곡을 주로 생산하며, 뒷산의 구릉에는 밤나무단지와 사과, 복숭아 과수원이 조성되어 있다. 동쪽에는 대규모의 미곡정미소가 있다. 1999년에 전국 쌀 생산 최우수단지로 장록단지가 선정되어 대통령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