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부도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청풍문화재단지
- 상당산성
- 단지주혈
- 공주박물관
- 화양구곡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선돌
- 효자문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충주박물관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문의문화재단지
- 오블완
- 경주김씨
- 법주사
- 사인암
- 각연사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괴산군(槐山郡) (922)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dpq0L/btsyU6Na9mh/OyLKPT4Z0XBsFkRpDOmwK1/img.jpg)
충청북도와 관련된 이희복이라는 인물을 찾다보니 고종39년(1902년)에 청주군수로 있던 이희복을 찾을수 있었습니다. 당시 청주군수였던 이희복이 이곳 화양동을 찾았다가 각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청주군수로 있던 이희복과 고종의 비였던 엄씨 그리고 청주 무심천가의 절 용화사의 칠불과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전해지고 있습니다. 엄비와 당시 청주군수였던 이희복의 꿈에 석불들이 나타나 자신들의 존재를 알리니 청주군수였던 이희복이 나라에서 재물을 받아 지금의 용화사를 창건하고 칠불을 모시게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집니다. 용화사 - 디지털청주문화대전 (grandculture.net) 용화사 - 디지털청주문화대전 [정의]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사직동 무심천(無心川) 변에 있는 평지 사찰. [설립경위] 상량문에 따르면 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inIk/btsyUMudMMn/AKbRpa2jIfEoXePTiJM0rk/img.jpg)
화양구곡의 제 4곡인 금사담옆에 자리한 암서재 뒷편 암벽에 각자되어 있는 여산인 송주헌宋柱憲의 이름각자입니다. 송주헌 자 정섭(宋柱憲 子 貞燮)이라고 각자 되어 있습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2013-04-19『三乎齋集』(국립중앙도서관[古3648-39-63]) [行狀]을 참고하여 생졸년, 출신지, 가계 정보를 추가함.[수정자: 이재옥] people.aks.ac.kr 암벽에는 이름이 정섭 貞燮 으로 되어 있지만 한국역대인물종합시스템에는 정섭 廷燮 으로 기록되어 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1852년(철종 3)~미상..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ZJ0ma/btsyYosYU64/IzNcsufPn96baskvN7momk/img.jpg)
화양구곡의 제 4곡인 금사담가 암석에 각자되어 있는 이름각자입니다. 조진구,서면보,조규영 자 병익 병승 손 섭하,서인정(趙鎭球,徐冕輔,趙揆永 子 秉益 秉升 孫 燮夏,徐麟渟)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상기인들은 1783년부터 93년 까지 사이에 관직에 입문하여 근무하던중 같이 이곳 화양동계곡을 찾았다가 이름을 각자하였습니다.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진구(趙鎭球) 인물 정보]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조진구(趙鎭球) 인물 정보] [부(父)] people.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면보(徐冕輔) 인물 정보] (aks.ac.kr)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 시스템 - 한국학중앙연구원 [서면보(徐冕輔) 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oO1O/btsxkFRvEAk/bFFW3EEVO0nIwfqB9AXaK1/img.jpg)
금사담이다. 뜻풀이를 한다면 금빛모래 고운 연못이라는 뜻일게다.화양계곡의 파천에서 부터 흘러내린 계곡물이 잠시 숨을 돌리고 쉬었다가는 곳. 그 곳에 금사담이 위치하고 있다.송시열이 작은 초옥을 짓고 화양동에 은거하며 지내던 곳이다. 후에 송시열을 따르던 우암학파 사람들에 의하여 의하여 이름지어진 암서재가 있는 곳이다. 흐르던 계곡물이 잠시 숨을 고르는 곳에 물속에 금빛 모래가 있다. 아마 그래서 금사담이라는 멋진 이름을 가졌을 것이다. 송시열은 이 곳에서 책을 읽고 시를 읊었다. 금사담이라는 암각자는 암서재 바로밑에 암벽에 각자되어 있습니다. 화양구곡의 각 이름은 송시열의 제자 권상하가 명명하였으며 민정중이 각자하였습니다. 제 1곡인 경천벽을 시작으로 9곡인 파천에 이르기 까지 전서체로 각자된 이름을 찾..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mI3z/btsyWhtTJkf/5oleFJcyEkGYFuGJWryMB1/img.jpg)
정재기(鄭在箕)는 1811년(순조 11)∼1879년(고종 16). 조선 후기 문신. 자는 오이(五而)이고, 호는 개은(介隱)이다. 본관은 하동(河東)이고, 경상남도 함양군 지곡면(池谷面) 출신이다.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의 13대 종손이다. 증조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행청하현감(行淸河縣監) 정덕제(鄭德濟)이고 조부는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당진현감(行唐津縣監) 정동노(鄭東老)이며 부친은 행헌릉참봉(行獻陵參奉) 정환보(鄭煥輔)이다.1866년(고종 3) 서산군수(瑞山郡守)로 재임했을 때 이양선(異樣船)이 평신진(平薪鎭)의 조도(鳥島) 앞에 나타났다는 첩보(牒報)를 조정에 보냈다.1871년(고종 8) 종택 근처에 만귀정(晩歸亭)을 건립하였다. 정재기는 암서재앞 암석에 이름을 각자하였습니다. 예전에 국립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izYi/btsyQM9Ls6Y/yuQygC7yCKH3LNF7PGhsu1/img.jpg)
정태현이 충북관찰사를 지낼 당시 아들인 의현과 함께 이 곳 화양동을 방문하여 금사담가 암벽에 이름을 각자하였습니다. 관찰사정태현자의현(觀察使鄭泰鉉子谊賢) 이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정태현은 대한제국기 충북관찰사, 가선대부 등을 역임한 관료입니다. 본관은 하동(河東). 자는 여칠(汝七). 호는 죽헌(竹軒), 아버지는 현감(縣監) 정재범(鄭在範)이며, 어머니는 나주임씨(羅州林氏) 임병조(林炳祖)의 딸이다. 백부인 감역(監役) 정재행(鄭在行)에게 입양되었다. 1883년(고종 20) 천거로 동몽교관(童夢敎官)이 되고, 1886년 한성부주부(漢城府主簿)가 되었다. 1894년 동학난이 일어나자 두동(杜洞)으로 들어가 살면서 어려운 친척들에게 토지를 떼어주고 동리의 어려운 자들을 모두 도와주니 목비(木碑)와 석비(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