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법주사
- 문의문화재단지
- 공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화양구곡
- 청풍문화재단지
- 부도
- 단지주혈
- 오블완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청주박물관
- 선돌
- 한독의약박물관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국립청주박물관
- 효자각
- 사인암
- 사과과수원
- 문경새재
- 상당산성
- 화양동 암각자
- 부여박물관
- 밀양박씨
- 경주김씨
- 효자문
- 충북의 문화재
- 곡산연씨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Today
- Total
목록2022/01 (4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중삼리는 면 북단에 위치한 마을로서 동은 죽전리, 남은 시목리, 북은 상삼리, 서는 부용면 노호리, 등곡리와 경계한다. 마을 동쪽에 진로와 카스맥주 공장이 위치하고 있다. 약 80여 세대에 140여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본래 문의군 이도면의 지역으로 중삼거리 또는 중삼기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삼리라 하고 청주군 현도면에 편입되어 있고 보성오씨와 밀양 박씨의 집성촌이다. 이 효자각은 조선 효종 6년(1655)에 보성인(寶城人) 오경례(吳景禮)의 효행을 기리어 나라에서 세운 정려이다. 본래는 중삼리 양촌 마을에 세워졌는데 1980년에 중뜸마을 지금의 위치로 옮겨 세웠다. 지금의 효자각은 정조 12년(1788)에 중건하고 1980년에 해체복원하여 이건한 건물로 정면 1간 측면 1간 ..
구룡리는 우암 송시열의 탄생지로 용방리 동쪽에 위치한다. 동에서 북쪽으로 금강이 휘 돌아 가고 마을 뒤편에 9개의 봉우리가 있다. 마을 앞으로 멀리 명산 월이산이 보이는 명터에 자리잡은 마을이다. 동쪽은 금강으로 지탄리, 남쪽은 구릉지로 원동1리, 서쪽은 칠방리와 낮은 산지, 북쪽은 금강 건너편 철봉산과 경계를 이루며 접한다. 구룡리는 600년 된 마을로 아홉 개의 봉우리가 마을을 포근히 감싸고 있는 모양이어서 구룡리九龍里라 하였다. 자연마을은 중심마을인 구룡촌, 도랫말, 제공말, 가골 등이 있고, 주작목으로 하우스 포도와 복숭아 등이 있다. 구룡리는 선산곽씨 집성촌으로 조선 개국 초기에 고려의 유신인 곽완원이 낙향하여 20 대에 걸쳐 600년을 세거했다 -구룡촌九龍村: 용방리의 본 마을로 뒷산 봉우리가..
미원면 옥화리에 있는 주일재 파평인 윤승임의 신도비입니다. 미원면 옥화리에 있는 옥화서원앞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윤승임이 지은 주일재집은 1책. 필사본. 저자가 죽은 뒤 교우와 제자들이 편집한 것으로 보인다. 권말에 오태기(吳泰基)의 「주일재시서(主一齋詩序)」가 있다. 연세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시 63수, 서(書) 11편, 부록으로 서(書) 10편, 명(銘) 1편, 잠(箴) 1편, 만사 1수, 기(記) 2편, 행장 1편, 서(序) 2편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에는 자연경관을 소재로 한 「향로봉(香爐峯)」·「건지산(搴芝山)」·「오진계(悟眞溪)」 등을 비롯하여 장편으로 구성된 「백락시(白樂詩)」 등 다양한 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서(書) 중 「상우암서(上尤庵書)」는 송시열(宋時烈)이 제주도에 유배되어 있을..
한 낯의 고요가 그리움이라는 고약한 친구를 데리고 왔다. 오래전 사진앨범을 펼쳐드니 어린시절의 나의 모습이 혼자 재미있게 놀다가 펼쳐보는 내가 계면쩍은지 슬그머니 꽁무니를 뺀다. 엄마와 소풍가서 찍은 사진하며 오래전 우체국에 저금했던 수기통장도 있고 어린시절의 추억들이 앨범속에 가득하다. 늦은 잠자리 털고 일어난 아내는 거실에 앉아 지난 앨범을 보는 내뒤로와 나의 어린시절의 추억들을 보며 어릴때는 개구쟁이 모습이 가득한데요...한다. "오늘은 당신과 추억하나 만들까?" 아내와 집고추 다진 양념이 참 좋은 칼국수나 먹으러 가야겠다. 바깥 날씨도 그리 춥지 않고 그냥 저냥 놀기 참 좋은날이다.
백족사는 청원군 가덕면 상야리 자리잡고 있으며 백족산 깊은 곳 정상 부근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에 거대한 규모의 충청북도 공무원 자치연수원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청주방면 혹은 괴산방면에서 진입시 자치연수원을 목표로 삼아 백족사를 찾아가는 것이 편리하다. 백족사까지의 길은 임도로 시멘트포장을 해놓았지만 가파르고 좁아 운전을 할 때 조심해서 올라가야 합니다. 승근스님은 1924년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나 9세의 어린나이에 동자승으로 출가하여 구족계를 받고 1943년 백족사에 정착하여 백족사의 중건과 사세확장에 열심을 내였다. 승근스님은 2015년 8월4일(음력)에 이 곳 백족사에서 열반에 드셨고 사리 48과를 거두었다. 또한 최정화보살도 2015년 7월7일에 입적하여 8과의 사리를 거두었다. 많은 불자들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