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밀양박씨
- 부여박물관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티스토리챌린지
- 상당산성
- 사인암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국립청주박물관
- 부도
- 청주박물관
- 단지주혈
- 효자문
- 경주김씨
- 청풍문화재단지
- 화양동 암각자
- 충북의 문화재
- 한독의약박물관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공산성 선정비
- 선돌
- 각연사
- 화양구곡
- 보성오씨
- Today
- Total
목록충북의 바람소리/증평군(曾坪郡) (175)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증평읍 장동 증평천주교회 뒷쪽으로 있는 삼일아파트 들어가는 입구에 삼일아파트를 바라보며 오른쪽 입구에 자리하고 있다,지금은 돌보는 이 없는지 주위를 좀 더 관리해야 할것 같은 느낌이 든다.문금산신부의 송덕비는 인터넷상에 사진한장 있는것이 전부였다.이 송덕비를 어떻게 찾을까 하다가 길을 나섰는데 처음 만나신분이 천주교와 관련이 있으신지 상세히 알려주셔서 잘 찾을수 있었다.자세한 주소는 증평읍 장동리 638번지이다. 지역 개발 사업 (9대 문금산 안젤로 주임신부님 재임 시) * 1969년 증천동과 장동에 주택 사업 * 연탄리 수로 사업 * 사리면 수암리 저수지 사업 * 증평초등학교 계단 사업 * 중앙시장 하수도 공사 * 율리 - 미원 간의 도로 사업 송덕비가..
남하리사지삼층석탑(南下里寺址三層石塔) : 자연암반을 기단으로 한 4.4m×3.4m×1.7m 크기의 암반 위에 한 면의 길이 108cm, 높이 35cm의 네모난 대석(臺石)을 놓고 높이 165cm의 3층으로 쌓은 석탑이다. 이는 신라 말기에서 고려 초기[9세기 말∼10세기 초]에 조성되었으며, 1984년 12월 31일에 충청..
남하리(南下里)는 본래 조선시대 청안현(淸安縣) 남면(南面) 지역이다. 『호구총수(戶口總帥)』(정조 13년, 1789) 기록에는 청안현 남면에 27개리가 있었다. 그 중에서 현재의 남하리와 관련된 마을로는 금반리(金盤里)ㆍ둔덕리(屯德里)ㆍ서원리(書院里) 등 3개리이다. 그 뒤 남하리는 건양(..
장내마을은 좌구산과 구석산에 발원하여 율리를 거쳐 장내로 흐르는 내(何川), ‘장래천(長來川)’이 있다. 내가 길다고 해서 긴 長자 올 來자를 써서 장래천이라고 했다는데 요즘과 다르게 옛날에는 비가 많이 와서 늘 장마철이면 물이 넘쳐서 장내마을의 전답이 온통 물에 잠겼다고 한다. 마을사람들은 고심 끝에 제방을 쌓았지만 해마다 이어지는 홍수에 제방은 제 기능을 못하였다고 한다.지금도 마을이 전체적으로 도로보다 아레에 위치하여 있다. 증펑읍 남차리 장내마을 회관앞에 1964년 2월 23일에 신진식 선생의 가르침에 대한 공을 기리기 위해 제자 문인들이 비를 세웠다.내용은 다음과 같다. 신진식 선생은 문충공 보한재의 17세손이며 신체가 작았으나 성품은 너그럽고 밖으로는 가볍지 아니하며 주관이 뚜렷하고 안으로는 ..
증평읍 남하리에 있는 마애석조여래입상입니다.오랜 세월동안 비바람에 많은 풍화작용을 거치며 형태는 알아 볼수 있습니다.남하리 사지에는 5구의 마애불이 있습니다.남하리 사지 마애불상군은 오랜 풍상을 겪으면서훼손과 부식이 심한상태입니다.신라말 9세기에서 10세기초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1998년 12월 31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 197호로 지정되었다. 마애여래입상(磨崖如來立像) : 삼존불이 조각된 동일 암반의 북쪽 면에 부조된 불상이다. 남대산으로 오르는 길에 인접해 있어 하단부는 땅 속에 매몰되어 있다. 길가에 있어서인지 인위적인 손상을 가장 많이 입었으며 특히 눈과 코는 마멸이 심하다. 그리고 바위의 균열도 심하여 무심코 지나치면 불상이 있는지조차 모를 정도로 희미한 상태이다. 마애불상을 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