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오블완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문
- 효자각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밀양박씨
- 법주사
- 단지주혈
- 상당산성
- 사인암
- 화양구곡
- 공주박물관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청주박물관
- 청풍문화재단지
- 충주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티스토리챌린지
- 사과과수원
- 부도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곡산연씨
- Today
- Total
목록2022/08 (64)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vQEt/btrIYCWZDJW/k51qTdBYihanUkuKy0ikrk/img.jpg)
민치상은 1867년에 공충도관찰사가 되었다. 공산성 선정비군에는 민치상의 선정비가 3기 자리하고 있다. 비석의 건립시기는 관찰사가 끝난 후 1870년 11월까지 감사로 있은 후 형조판서가 된다. 1870년 이후에 세웠을것으로 추측된다. 비석의 전면에는 도순찰사민공치상영세불망비(都巡察使閔公致庠永世不忘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 비석의 크기는 133*51*25정도입니다. 승정원 일기에 의하면 승정원일기 2718책 (탈초본 128책) 고종 4년 9월 25일 을해 16/21 기사 1867년 同治(淸/穆宗) 6년公忠監司閔致庠所報..... 민치상은 1825(순조 25)∼1888(고종 25). 조선 말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경양(景養), 사호(賜號)는 하당(荷堂). 여양부원군(驪陽府院君)민유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P8ZX/btrIOvKJEYT/zTSor1nOMRi6MsaiRg843K/img.jpg)
김윤환은 대한제국시절 참판을 지냈으며 조선환여승람이 1935년 공주에서 편찬되었을 때 서발문 찬자(贊者)중 한명으로 등재되었다. 비석의 전면에는 청암김부경윤환기행비(淸菴金副卿閏煥紀行碑)라고 각자되어 있습니다.비석의 건립시기는 병인년(1926년)으로 추정됩니다. 부경(副卿)이라 함은 대한제국(大韓帝國) 때 태의원(太醫院), 시종원, 장례원(掌隷院), 내장원(內藏院)의 종이품(從二品) 벼슬을 칭합니다. 공주 부호 김윤환과 자선활동 < 아카이브로 보는 공주이야기 < 연재기획 < 기사본문 - 금강뉴스 (kknews.co.kr) 공주 부호 김윤환과 자선활동 - 금강뉴스 지난 7월 말경 필자는 아카이브 자료 공모전을 실시하여 여러 시민으로부터 공주의 옛 자료들을 수집하였는데, 그 안에서 김성룡이 간행한 『청암수집(..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6XnSL/btrII1XA4Iz/0CL7yj3ghf2lNYdnQRPZX1/img.jpg)
민영상은 본관은 여흥(驪興), 자는 이경(伊卿). 민이현(閔彛顯)의 증손이며 민정용(閔正鏞)의 아들이다. 외조부는 권제형(權躋亨)이다. 1872년(고종 9) 문과에 합격하였다. 1878년에 성균관대사성이 되었고, 같은 해 11월에는 이조참의가 되었으며, 이듬해 이조참판이 되었다. 1885년(고종 22) 8월에는 공조판서에 임명되었으며, 그 해 형조판서를 지냈다. 1886년 3월에는 충청도 관찰사가 되어, 1889년 3월까지 재임하였다. 그 해 4월 예문관제학, 6월 한성부판윤을 차례로 역임하고, 7월에는 호조판서에 임명되었다. 1890년에는 홍문관제학이 되었고, 그 해 11월에는 이조판서에 임명되었다. 이 후 시강원좌빈객, 공조판서,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894년 7월에는 내무아문대신(內務衙門大臣)..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pYf6C/btrIOwVOyLA/FgU3xc0ckqck3VKwezpOK0/img.jpg)
본관은 동래(東萊). 자는 유춘(囿春), 호는 양파(陽坡). 영의정 정광필(鄭光弼)의 5대 손이며, 정유길(鄭惟吉)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정창연(鄭昌衍)이고, 아버지는 형조판서 정광성(鄭廣成)이다. 어머니는 황근중(黃謹中)의 딸이다. 좌의정 정치화(鄭致和)와 예조참판 정만화(鄭萬和)의 형이다. 1624년(인조 2) 진사시에 합격하고, 이어 1628년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승문원정자로 벼슬살이를 시작하였다. 1637년 세자시강원의 보덕이 되어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따라 심양(瀋陽)에 가기까지, 당하관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역임하였다. 홍문관에서는 수찬·교리·응교를, 사간원에서는 정언·헌납·사간을, 사헌부에서는 집의를, 세자시강원에서는 설서·사서·필선을, 성균관에서는 사예·사성을 각각 지냈다. 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EH9G/btrICPh5VT4/KUj1fnhMnEu4oGdN5qihWK/img.jpg)
공주 공산성 입구에 있는 선정비중에 하나인 목사 김효성의 선정비입니다. 목사김공효성청간선정무휼군졸비(牧使金公孝誠淸簡善政撫恤軍卒碑 )라는 기인 이름이 각자되어 있습니다 비수와 비신이 일체형이며 조금은 투박하지만 비수의 문양이 아름답습니다. . 김효성(1585∼1665)은 광해군 5년(1613) 생원이 되었으며, 이이첨의 사주를 받은 정조, 윤인, 이위경 등이 인목대비를 해치려고 할 때 이들의 목을 벨 것을 상소하다 길주에 유배당하고 뒤에 진도로 옮겨 유배생활을 하였다. 인조반정으로 관직을 되찾아 의금부도사를 지냈으며 청안현감이 되었고, 이후 남원, 죽산의 부사와 공주, 청주의 목사 등을 두루 지냈다. 오랜 외직생활동안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었으며, 청렴하고 강직한 목민관으로 이름을 떨쳤다. 조선시대 공주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wIvc6/btrIO2Abh06/oNJdXSwFqbhubOd3667Bjk/img.jpg)
김시헌은 조선시대 동지춘추관사, 예조참판, 도승지 등을 역임한 문신이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자징(子徵), 호는 애헌(艾軒). 고려의 명장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김석(金錫)이고, 아버지는 원주목사 김제갑(金悌甲)이며, 어머니는 윤개(尹漑)의 딸이다. 1588년(선조 21) 소과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같은 해 식년 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였다. 검열(檢閱)·이조좌랑·정언(正言)을 거쳐 1595년 사간·전한(典翰)·시강관(侍講官)·사인(舍人)이 되고, 이듬해 집의(執義)·사간 등을 거쳐, 1597년 동부승지·우부승지·충청도관찰사·대사성 등을 역임하였다. 이 때 소모관(召募官)으로 충청도에 파견되었다. 이어 병조참의·우승지·좌승지를 거쳐 복수사(復讐使)의 종사관(從事官)으로 신립(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