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공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오블완
- 문경새재
- 한독의약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효자각
- 보성오씨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부여박물관
- 각연사
- 공산성 선정비
- 곡산연씨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부도
- 법주사
- 효자문
- 청풍문화재단지
- 티스토리챌린지
- 선돌
- 국립청주박물관
- 밀양박씨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상당산성
- 사인암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Today
- Total
목록2021/10 (1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5RykS/btrhc647ejO/OvIpLsjSlVE17Mg2nQeIV0/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제(權踶)의 신도비. 권제는 조선 전기의 문신으로 본관은 안동, 자는 중의(仲義), 중안(仲安), 호는 지재(止齋)이다. 음보로 관직에 나아갔다. 1440년(세종 22)에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고, 정인지 등과 『용비어천가』를 지어 바쳤다. 영의정에 추존되었고, 시호는 문경(文景)이다. 이런 업적을 기리고자 18대손 권오호(權五虎)가 찬하고 김영기(金榮基)가 써서 1993년에 건립하였다. 권제 신도비는 기단 위에 대석을 얹고, 그 위에 비신을 세운 뒤 이수(螭首)로 마무리하였다. 높이는 각각 84㎝, 220㎝, 85㎝이다. 비신은 너비 116㎝, 두께 34㎝이다. 신도비의 전액(篆額)에 “증시문경공지재권선생신도지비(贈諡文景公止齋權先生神道之碑)”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m5iS/btrhdDuAro4/WzPIUZCGgBQjPkigLbU2x0/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권람(權擥)의 신도비. 권람의 본관은 안동이고, 자는 정경(正卿), 호는 소한당(所閑堂)이다. 양촌 권근(權近)의 손자이며 문경공(文景公) 권제(權踶)의 아들이다. 1450년(세종 32)에 문과에 장원 급제하였고, 감찰(監察)을 거쳐 교리(校理)를 지냈다. 계유정란(癸酉靖難)에 앞장서 정난공신(靖難功臣) 1등으로 책록되었고, 세조 즉위 후 이조참판(吏曹參判)에 발탁되었다. 이어 좌익공신(佐翼功臣) 1등으로 예문관(藝文館) 대제학(大提學)이 되었고 길창군(吉昌君)에 봉해졌다. 1458년(세조 4) 수찬관(修撰官)으로 『국조보감(國朝寶鑑)』을 편찬하고 우찬성(右贊成), 이듬해 좌찬성이 되었다. 이어 우의정을 거쳐 1462년 좌의정에 올라 이듬해 부원군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bfy4/btrgB5epz2K/BwKYRIk0M3SMoBlYRDWw71/img.jpg)
안내면 현리에 있는 조선조 옥천군수를 지낸 황종림의 선정비입니다. 군수황종림영세불망비(郡守黃種林永世不忘碑) 라고 써 있습니다. 황종림의 선정비는 옥천읍 교동리와 군북면 증약리에 각기 1기씩 자리하고 있습니다. 황종림은 자는 천오(千五)이며 창원인입니다. 생몰년은 미상이며 순조16년(1816)에 병자년 식년시 생원시에 급제하였습니다. 홍주목사(1857) 가산군수(1858)등을 역임하였습니다. 승정원일기 2415책 (탈초본 119책) 헌종 9년 6월 25일 정유 30/55 기사 1843년 道光(淸/宣宗) 23년....洪在兢爲監役, 黃鍾林爲沃川郡守, 成載琬爲唐津縣監,.... 현리는 본래 신라 때부터 고려때까지 현(縣)의 관아(官衙)가 있던 곳이므로 현리(縣里)라 부르게 되었다. 1739년 여지도서(輿地圖書)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4b206/btrgVSMhgzW/37ZaVlBLR3eIOBrKIhpIb0/img.jpg)
안내면 도농리 농막마을과 되재마을이 갈라지는 다리 부근에 있는 돌탑입니다. 모양새로 보아 서낭당과 함께 만든 돌탑입니다. 개울가 암반위에 정성을 모아 쌓아 놓았습니다. 동네로의 전염병이나 또는 악귀등의 침입을 방지하며 동네주민들의 화합과 안녕을 기리는 일종의 기념물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owgHX/btrgRNq6vIl/kqDhKto4dn0Ixo23ufUCK0/img.jpg)
조선 중기의 학자로 이원면 용방리 구룡촌에서 태 어났다.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영보英甫, 호는 우암尤 庵이다. 고조는 송세량宋世良, 증조는 송구수宋龜壽, 조부는 송응기宋應期이다. 아버지는 사옹원司饔院 봉사奉事 송갑조宋甲祚이며, 어머니는 봉사 곽자방郭自防의 딸 인 선산곽씨이다. 모두 5남 2녀를 두었는데, 송시열은 3남으로 태어났다. 부인은 한산이씨로 이덕사李德泗의 딸이다 아버지 송갑조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양에서 강원도로 피난하였다가 회덕 종가를 들러 1594년(선조 27) 선산곽씨와 혼인한 후 처가인 구룡촌에 머물렀다. 옥천에서 회덕 송촌宋村·비래동飛來洞 소제蘇堤 등으로 이거하던 26세까지 살았으며, 이후 주로 회덕에서 거주하였다. 이미 8세부터 회덕의 송이창(宋爾昌, 1561~1627) 집을 오가..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eqYvpr/btrgOuePOnS/KNcbYWKt7j1EexVinUo0Sk/img.jpg)
옛날 마을 앞 연못 가운데 정자가 있어 이를 따서 못정이라 하였다. 못정이 모정으로 변화하고 한자화하여 지정池亭이라 하였다. 행정리는 지정리 단일이다. 수려한 월이산과 대성산, 마니산, 천태산이 주위에 있고, 아름다운 지정팔경池亭八景이 있다. 주요성씨는 우봉이씨 이무가 이 마을에 처음 들어와 살았고, 우봉이씨 영모당이 위치한다. 경주김씨, 양천허씨, 옥천육씨도 세거한다. 주작목으로 복숭아와 하우스 포도 등 과수농사를 짓고 있으며 전에는 담배농사를 지었다. 지정리는 이남면의 면소재지로 5일장이 섰던 마을이다. 세심대洗心臺는 마을 입구 산기슭 아래에는 맑은 내가 흐르는데 그곳에 못이 있고 조선 시대 이식근李植根이 세운 정자가 있었으나 터만 남아 있다. 이곳 지정리에 입향조인 우봉인 이무가 썼다고 전해지는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