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사과과수원
- 상당산성
- 경주김씨
- 티스토리챌린지
- 공주박물관
- 오블완
- 문경새재
- 충북의 문화재
- 효자문
- 단지주혈
- 사인암
- 한독의약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부여박물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청풍문화재단지
- 문의문화재단지
- 화양구곡
- 충주박물관
- 청주박물관
- 각연사
- 효자각
- 화양동 암각자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국립청주박물관
- 법주사
- 선돌
- 부도
- Today
- Total
목록2021/10 (107)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OxYN/btrhBMDTgFL/GMn5JIpUlNpGEGSGQR3yd1/img.jpg)
보살사 못미쳐 부도전에 있는 자우당탑의 모습입니다. 紫藕堂塔(자우당탑) 강희무술삼월수제자아립(康熙戊戌三月 受弟子芽立)이라고 음각되여 있다. 강희무술년이면 무술년으로는 숙종44년 강희57년이다.서기 1718년이다. 자우당부도가 세워지고 12년후에 옆에 있는 취봉당부도(영조6년 1730년)가 세워졌다. 당호도 선명하다.자우당탑(紫藕堂塔)이란 이름을 갖고 있다. 부도의 크기는 전체높이 220센티이며 부도의 최대 폭은 90.5센티이다. 부도의 관리상태는 양호하다.부도 주변으로 잡목들이 자라고 있었으나 청주한씨들의 가족묘응 조성하면서 잡목들을 모두 제거하여 접근성이 양호해졌다. 대부분의 많은 사람들이 이부도전은 모른 체 보살사만 둘러보고 가는 경우가 많다. 보살사나 또는 행정관청에서의 안내나 보살핌이 시급하다.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ENE9/btrhw7Jhloq/7nL3FdmXr8vxrkPBHK24I0/img.jpg)
청주시 용암동 보살사 부도전에 있는 부도입니다. 에전에 비해 접근성이 많이 좋아졌습니다. 부도의 주인공의 이름은 마멸되어 확실히 알수 없습니다. 한국사찰문화재에 의하면 조선후기에 조성된 부도로서 *봉당탑 (*峯堂塔)이라고 써있다.전체높이는 204센티이며 최대폭은 89센티입니다. 부도의 하부에 균열이 있습니다. 부도는 연꽃봉오리 모양의 부조를 띄고 있고 부도의 몸과의 사이에는 연주문의 무늬가 있고 그 아래로는 복련의 모습이 조각되여 있습니다. 다른부도와는 달리 부도대석의 치석이 거친 느낌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dF1MYP/btrg9k31YFl/LYq8JfOA8HCiN8DQKeWqf1/img.jpg)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방축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문인 권념의 묘비. 권념(權念)의 본관은 안동으로, 자는 중경(仲經), 초휘(初諱)는 권응(權應)이다.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손자이며, 정난공신 안천군 권준의 차남이다. 모친은 영춘현부인 해주정씨(永春縣夫人 海州鄭氏)로, 정도공(貞度公) 정역(鄭易)의 딸이다. 음보로 군기시판관(軍器寺判官)을 거쳐 옥천(沃川), 마전(麻田) 등의 군수를 역임하였다. 권념의 묘는 원래 지금의 위치를 기준으로 동쪽 능선에 있었는데, 1990년 부인의 묘소와 합장하였다. 대석을 제외한 비신과 상부는 화강암 1석으로 만들었다. 전체 높이는 104㎝이고, 비신은 높이 77㎝, 너비 53㎝의 크기이다. 상부에는 연화문 9엽을 돌려 조각하였고, 양옆은 연잎을 3단으로 말아올렸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0yRzJ/btrhesMzrY7/ocHopivIIIfajbds2GdeRK/img.jpg)
권준은 조선 전기의 문신입니다. 본관은 안동. 자는 오미(五美). 아버지는 권근(權近)이다. 부인은 해주정씨로 찬성 정이(鄭易)의 딸이다. 1422년(세종 4) 문음(門蔭)으로 종묘부정에 제수되고 1430년(세종 12) 호조좌랑이 되었다. 1434년(세종 16) 종부시판관(宗簿寺判官)으로 강원도와 함길도에 가서 기민 구제 상황을 시찰하였다. 사헌부지평, 1438년(세종 20) 경기경력, 1444년 군기시부정(軍器寺副正)을 지내고 이듬해 경기도 기민 구제를 위한 경차관(敬差官)으로 파견되었다. 1450년(문종 즉위년) 음죽현감, 1452년 우부승지, 좌부승지, 우승지, 사헌부대사헌이 되고, 정난공신 2등에 녹훈되어 안천군(安川君)에 봉해졌다. 1455년(세조 1) 형조판서에 올라 선위사(宣慰使)로 신천에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y0MA1/btre4OStj7b/wR742GqCdv9GKWXNIMaPD0/img.jpg)
1398년(태조 7)에 창건하였고, 1442년 세종 24년에 송을개宋乙開 옥천군수가 향교 남쪽에 9칸의 명륜당을 건립했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중에 불탄 것을 그 뒤에 다시 세웠다. 1954년에 유림총회에서 황폐한 향교 재건을 결의하고 1961년에 복원하였으며, 1966년과 1974년에 보수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옥천 읍내 중심부에서 조금 떨어진 마성산 현무봉 줄기에 자리하고 있다. 향교 동구에는 홍살문이 놓여 진입할 때에 경건함을 일깨운다 향교가 있는 곳은 책임자인 전교를 비롯해서 향교를 관리하는 사람들이 모여 하나의 마을을 이룬다. 교동리라는 지명 또한 향교에서 유래한 것으로 읍내 마을과는 구분되는 또 하나의 거주 영역을 구성하고 있다. 옥천향교도 대부분의 지방 도시의 경우처럼 외곽에..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XKhXd/btrhdBDcILu/Juk5xIqxXLs3GUkQlJPpy1/img.jpg)
권근은 고려 말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 본관은 안동. 초명은 권진(權晉), 자는 가원(可遠), 호는 양촌(陽村). 증조부는 권부(權溥)이다. 1368년(공민왕 17) 성균시에 합격하고 이듬해 급제하여 춘추관검열·성균관직강·예문관응교 등을 역임하였다. 공민왕이 죽자 정몽주(鄭夢周)·정도전(鄭道傳) 등과 함께 위험을 무릅쓰고 배원친명(排元親明)을 주장하였다. 1390년(공양왕 2) 윤이(尹彝)·이초(李初)의 옥사에 연루되어 한때 청주옥에 구금되기도 하였다. 뒤에 다시 익주(益州)에 유배되었다가 석방되어 충주에 우거(寓居)하던 중 조선왕조의 개국을 맞았다. 조선왕조에 출사하여 예문관대학사(藝文館大學士) 등을 지냈고, 1396년(태조 5) 이른바 표전(表箋) 문제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귀국한 뒤 개국원종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