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국립청주박물관
- 공주박물관
- 효자각
- 선돌
- 단지주혈
- 화양구곡
- 청주박물관
- 곡산연씨
- 상당산성
- 청풍문화재단지
- 경주김씨
- 한독의약박물관
- 부도
- 충주박물관
- 화양동 암각자
- 사과과수원
- 밀양박씨
- 법주사
- 효자문
- 보성오씨
- 공산성 선정비
- 문경새재
- 각연사
- 충북의 문화재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사인암
- 티스토리챌린지
- 문의문화재단지
- Today
- Total
목록2021/06 (11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보은동헌에 모아 놓았던 것을 다시 선병국가옥 입구로 옮겨 세웠다.전체높이 190cm,비면138×50×21cm크기의 비로 앞면에 ‘전승지선공정훈송덕비(前承旨宣公政薰頌德碑)’라고 쓰여있다.오른쪽에 차례로 ‘관선정기적비(觀善亭紀蹟碑)(전체높이230cm,비면156×56×25cm크기로 관선정학우회에서 1973년세움), ‘남헌선정훈선생송덕비(南軒宣政薰先生頌德碑)’(전체높이370cm,비면22073 44cm, 2001년 남헌선생 송덕비건립 추진위원회)를세웠다 선정훈(宣政薰)은 (1888(고종 24). 3. 14.~1963. 3. 18. ) 근·현대의 독지가·교육 선각자로 본관은 보성(寶城), 자는 우현(友鉉), 호는 남헌(南軒)이다. 문충공(文忠公) 선윤지(宣 允祉)의 후손이며, 할아버지는 선처흠(宣處欽), 아버지는 ..

개안리의 문화유적으로는 선씨 가옥 3채가 국가지정 또는 지방 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우선 선병국 가옥은 조선시대 양반가의 전형적인 건축물로 1905년경에 설립되었다. 대지 4,000여 평에 위에 안채, 사랑채, 행랑채, 사당 등 여섯 동의 주 건물과 부속 건물로 이루어진 당대 최고의 99칸 규모의 집으로 국가 중요민속자료 제134호로 지정된 문화재이다. 선병묵 가옥은 1940년대에 지은 건물로 안채, 사랑채, 행랑채 등 전통적인 가옥 형태를 갖추고 있다. 1940년대의 전통적인 기법의 변화상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충청북도 지방문화재자료 제4호로 지정되었다. 현재 식당으로 활용되고 있는 선병우 가옥은 안채, 안사랑채, 바깥사랑채, 행랑 채 등 전통적인 가옥형태를 고루 갖추고 있으며, 1940년대에 건축..

잣뫼마을 입구에 서 있는 부안임씨 감찰공파세거지지비(扶安林氏監察公派世居之地碑) 입니다. 부안 임씨(扶安 林氏)의 시조(始祖) 임계미(林季美)는 고려(高麗) 현종 대에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평장사(平章事)를 역임(歷任)하고 평원부원군(平原府院君)에 봉(封)해졌고, 후(後)에는 보안백(保安伯)에 봉(封)해졌다. 이로부터 그 후손(後孫)들이 보안, 현재(現在) 부안(扶安)을 관향(貫鄕)으로 삼았다고 한다. 그의 9대손(代孫) 임숙(林淑)은 고려시대(高麗時代) 순성보절좌리공신(純誠輔絶佐理功臣)와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에 올랐고 보안백(保安伯)에 봉(封)해졌고 부안임씨(扶安林氏)의 중시조(中始祖)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부안 임씨(扶安 林氏) 역시(亦是) 다른 임씨(林氏)와 마찬가지로 당(唐)나라에서..

보은읍 학림리에 위치하고 있는 진주인 강병희의 송덕비이다 학림리 수리조합에 관여하여 지대한 공이 있어 학림리 수리조합원 일동으로 1976년에 세웠다 옆에는 이석래 송덕비도 같이 세워져 있다. 비석의 전면에는 진주강공병희송덕비(晋州姜公秉熙頌德碑)라고 각자 되어 있습니다. 보은에서 청주로 가는 국도 변 대바위 새마을공원 안에 있다. 수리조합 설립 때 농민을 위하여 거액을 찬조한 이석래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전체 높이 160cm, 비면 114×40×18cm이며, 비면에는 ‘전조합장이공석래공적기념비(前組 合長李公錫來功蹟紀念碑)’라고 쓰여 있다

(64)수한면 산척리 느티나무 - 보은사람들 (boeunpeople.com) (64)수한면 산척리 느티나무 - 보은사람들 보은은 오랜 역사와 문화를 자랑하는 고장이니만큼 그 역사를 함께하며 주민들 곁을 지켜온 보호수들이 이곳저곳에 자리하고 있다. 보은의 오랜 역사를 품고 있는 살아있는 우리 고장의 역사, www.boeunpeople.com 산척리는 북으로 하궁리, 동으로 보은읍 용암리, 남으로 동정· 병원리, 서로는 도로를 경계로 율산리와 접해있다. 본래 보은군 수한면지역으로 큰고개 밑이 되므로 산자골 또는 산척곡이라 불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은로리와 회인군 동면 산척리 일부를 병합하여 산척리라 하였다. 자연마을은 반목과 웃산자골이 있으며, 지명으로는 고두리, 달박골, 도장골,보독골,서농..

이식리는 옛날에 속리천에 배가 다녔고 쉬었다가 가는 곳이라 하여 배쉰개, 배진개, 주식포(舟息浦), 주포(舟浦)라 하였다. 멀리서 마을 전체를 바라보면 주변의 고봉준령 속에 마치 커다란 배 한 척이 정박하고 있는 형태를 띠는데 웃말과 아랫말 사이의 작은 동산이 마치 배의 돛을 연상케 한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내북면의 천산리를 병합하여 이식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배진개와 밤소가 있다. 배진개는 배가 쉬어가는 포구라 하여 배쉰개 라고도 하였으며 새말과 양짓말로 나뉜다. 새말(아랫말)은 배진개 아래에 새로 생긴 마을이고 양짓말(웃말)은 배진개 양 지쪽에 있다 하여 양짓말이라 하며, 또는 위쪽에 있어서 웃말이라고도 부른다. 밤소는 배진개 서남쪽에 있는 마을로 밤나무 숲이 있었다고 하며, 다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