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밀양박씨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선돌
- 사인암
- 상당산성
- 화양구곡
- 오블완
- 화양동 암각자
- 법주사
- 사과과수원
- 곡산연씨
- 문의문화재단지
- 단지주혈
- 청풍문화재단지
- 효자문
- 부도
- 보성오씨
- 각연사
- 국립청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청주박물관
- 충주박물관
- 경주김씨
- 효자각
- 충북의 문화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티스토리챌린지
- 부여박물관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06 (11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하장리는 탄부면의 중심마을로 동쪽은 당우리, 서쪽은 벽지리, 남쪽은 대양리, 북쪽은 상장리에 접하고 있다. 본래 보은군 탄부면의 지역으로 진미 아래쪽이 되므로 아래진미 또는 하장산(下長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하장리라 하였다. 하장리의 자연마을 이름은 ‘진미’이다. 마을 뒤로 긴 산이 둘러있는 모습의 형 상을 하고 있어 본래 ‘긴뫼’로 불리던 것이 진미로 변하고 이 곳 진미 땅이 황토질이라 질기다고 하여 ‘긴장대’라고도 한다. 면사무소가 위치해 있다. 하장리 마을유래비의 내용을 보면 “여기에 인심 좋고 예의바른 우리 마을 눈앞에는 넓은 들, 기름 진 땅, 풍년을 약속하네. 누구나 마음씨 곱고 살기 좋은 우리 마을 진미마을. 너와 나는 진미를 떠날지라도 못잊을 우리 마을 진미 마..

법주리는 본래 회인현(懷仁縣) 동면(東面) 지역으로 버드나무가 많아 버드리(柳洞)라고 부르고 구룡산(九龍山) 밑의 큰 골짜기가 되므로 법줄 또는 법주(法主)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통페합에 따라 보은군(報恩郡) 회북면(懷北面) 관할이 되었으나 1946년 2월 1일 행정구역 변경에 의하여 내북면(內北面) 에 편입되었다. 법주리 느티나무는 1982년 8월에 보호수로 지정되었으며 지정당시 수령은 230년이며 내북면 법주리 193번지 도로가에 접하고 있습니다.높이는 19미터이며 법주리에서 지내는 장승제의 장승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봉황리는 300여 년 전에 동쪽 음달말과 냇가 사평뜰에 산재되어 있던 마을을 당시 선조들이 현 위치로 옮겨 오며 형성되었다. 북으로 청주시 미원면 운암리, 동으로 산외면 이식리, 남으로 적음리, 서로 성암리와 접해 있다. 본래 청산현 주성면 지역으로, 1906년 보은군에 편입되어 보은군 주성면 지역이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시 사평리, 도엽리 일부를 병합하여 봉황리로 하고 내북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도리비, 모래부리(밤나무뜸, 주막뜸, 벌뜸, 새집뜸, 굼뜸)이 있으며, 지명으로는 가마소들, 구들, 굴바우, 낭사대, 말목들, 모래벌청벽, 비둘기굴, 살구 재고개, 살목개, 새들, 새평, 속구바우, 아칠고개, 원모랭이들, 절터거리, 치마바우, 호구암, 호룡수 등이 있다 다리를 건너면 커다란 ..

율산리는 면의 동북쪽에 자리하며, 북으로 내북면 신궁리,동으로 내북면 하궁리, 산척리, 남으로 동정·차정·건천리, 서로는 회인면 애곡리와 접해 있다. 본래 회인군 동면지역으로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 율성동과 산척리 일부와 보은군 수한면 산척리 일부를 병합하여 율성과 산척의 이름을 따서 율산리라 하고 회북면에 편입 하였다가 1983년 행정구역 개편시 수한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은 산자골과 밤성골이 율산1리와 2리로 나뉘어 있다.지명으로는 밤성 골고개, 배내미, 범산, 부무골, 불당골,승지골,지경들, 회사땅,할미당등이 있다,

남대문리는 회인이나 대전을 거쳐 오는 길도 있지만, 청주에서는 문의~남대문을 잇는 509번 도로를 많이 이용한다. 북으로 문의면 묘암리, 동으로 거교리, 남으로 수몰 되어 사라진 어성리, 서로 샘봉산 너머 청주시 문의면 염티·소전리와 접해 있다. 본래 회인군 서면 지역으로 호점산성의 남문 밖이 되므로 남대문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만지동, 거구리와 후곡리 일부를 병합하여 남대문리라 하고 회남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거쿠리, 남대문, 만마루가 있으며, 지명으로 가마골, 가마성, 남문, 논골, 느저목골, 돼지골, 뒤견봉, 말바탕, 먹뱅이, 멀티고개, 모악골, 바사리고개, 배나무골, 불무골, 사지뱅이골, 상수리, 성지골, 쇠목골, 안터, 안어성골, 염티골, 용 굴, 우래실, 은정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