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충주박물관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국립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사과과수원
- 공주박물관
- 사인암
- 오블완
- 상당산성
- 밀양박씨
- 청풍문화재단지
- 문경새재
- 부여박물관
- 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화양구곡
- 법주사
- 효자문
- 선돌
- 화양동 암각자
- 단지주혈
- 효자각
- 각연사
- 티스토리챌린지
- 곡산연씨
- 공산성 선정비
- 보성오씨
- 경주김씨
- 부도
- 한독의약박물관
- Today
- Total
목록2021/06 (11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uThqE/btq6xYJQNiE/nkH5hAwa0IKMeLRKwkyyHK/img.jpg)
마로면 적암리 경로당앞에 자리하고 있는 경로당준공공적비입니다. 마로면 적암리는 본래 보은군 왕내면지역 으로서 붉은바위가 있어 ‘적바위’ 또는 ‘적암’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통폐합에 따라 ‘적암리’라 하고 마로면에 편입되었다. 적암리는 보은의 동쪽 끝으로 경상북도 상주시와 접하고 있고, 서쪽과 남쪽으로 갈평리와 임곡리를 마주보고 있으며, 북쪽으로 구병리와 사이에 구병산(해발 876.0m)를 안고 있다. 상주시 사이에는 시루봉을 두고 있어 갈평저수지와 시루봉, 구병산을 잇는 삼각형 안에 조용히 마을이 들어 앉은 형국이다. 이렇게 물과 산사이 기(氣)를 키워가는 지형을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이라 새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적암리 일대에는 큰장수(인물)가 날 것이라는 전설과 함께 일제강점기에 혹은 임진왜..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X8XCA/btq6n62gZtm/O3Ky5KDpSohsD7SQlegSok/img.jpg)
적암리(赤岩里)는 본래 보은군 왕내면 지역으로서 붉은 바위가 있어 ‘적바위’ 또는 ‘적암’ 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적암리’라 하고 마로면에 편입되었다. 적암리는 보은의 동쪽 끝으로 경상북도 상주시와 접하고 있고, 서쪽과 남쪽으로 갈평리와 임곡리를 마주보고 있으며, 북쪽으로 구병리와 사이에 구병산(해발 876.0m)를 안고 있다. 상주시 사이에는 시루봉을 두고 있어 갈평저수지와 시루봉, 구병산을 잇는 삼각형 안에 조용히 마을이 들어앉은 형국이다. 이렇게 물과 산 사이 기(氣)를 키워 가는 지형을 금계포란형(金鷄抱卵形)이라 새의 모습을 하고 있는 적암리 일대에는 큰 장수(인물)가 날 것이라는 전설과 함께 일제 강점기에 혹은 임진왜란 때 이여송이 바로 이러한 정기를 끊기 위해 새의..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ft5ur/btq6BD5rxpb/j5YHGsysuKvOUkHceUL301/img.jpg)
학림리는 보은읍의 서북쪽에 자리해 뒤쪽으로는 문암산(515m)을 두고 앞으로는 잣미산(함림산)을 바라보는 마을이다.두 산 사이의 비좁은 길목을 빠져나온 보청천은 탁트인 동안뜰을 일직선으로 흐른다. 동안뜰은 보은 북쪽의 풍취리 부터중동리,신함리,학림리로 이어지는 2km의 드넓은 뜰이다. ‘학림’은 노고산성(함림산성)아래의 마을이라 하여 ‘함림’이라 부르던 것이 변하여 생긴 지명으로 보인다.소나무 숲이 우거졌던 곳인데 두루미가 많이 날아와 살았다 하여 이름 붙여졌다고도 전한다. 조선시대 보은현 외북면 관할로 1895년 행정구역개편때 보은군 산내면으로 편입되었다가 1914년일제의 행정구역 통폐합 때 내함림,외함림,율지,그리고 산외면의 대암을 합하여 보은군 읍내면(보은읍)에 편입되어 오늘에이르고 있다. 국민방위..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n3GsS/btq6zsLjmUn/otSb0qxnfLDxw4YDKwMkQ0/img.jpg)
본래 보은군 내북면지역으로, 지형이 노루의 머리와 흡사하다 하여 ‘노루실’ 또는 ‘장속(獐俗)’이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폐합에 따라 모정리, 내지동, 소지동을 병합하여 내북면에 편입되었다가 1987년 행정구역변경에 의하여 보은읍에 편입되었다. 동쪽은 교사리, 서쪽은 용암리,남쪽은 봉평리,북쪽은 중초리에 접하고 있다 마을뒤의 태봉산은 어느 이름모를 임금의 태가 묻혀있다고도 하고, 여러마을을 거느릴수 있는 큰봉우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고도 한다. 마치 다섯손가락을 펼친 것 같은 산세여서 예로부터 호랑이가 시묘를 산다고 할 정도로 골짜기가 깊고 많다. 노루실동북쪽에는 신평이씨종중의 묘를 관리하던 산지기가 살았다는 산직골이 있고 , 이리가 자주 내려왔다는 시라니골, 골짜기의 모양이 까마귀머리를 닮았다는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WBGtU/btq6mCmOxCm/dVsFN8uYcINIKD1YbZzlWK/img.jpg)
수한면 산척리 반목마을 입구에 위치한다. 앞면에 ‘가평이공기정송덕비(加平李公 基正頌德碑)’라 하였고, 뒷면에 건립 연대를 밝히고 있다.건립시기는 1959년 입니다. 앞면 좌우에는 ‘효급종족 제달향당 유구개송 무물불향 중부지화 박시지량 흘차덕혜 지피궁양 산척리일동(孝及宗族 悌達鄕黨 有口皆頌 無物不嚮 中孚之化 博施之量 屹此德惠 指彼穹壤 山尺 里一同)’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