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주박물관
- 문경새재
- 곡산연씨
- 청주박물관
- 문의문화재단지
- 보성오씨
- 밀양박씨
- 각연사
- 효자각
- 선돌
- 사인암
- 충주박물관
- 공산성 선정비
- 사과과수원
- 화양구곡
- 효자문
- 화양동 암각자
- 부도
- 청풍문화재단지
- 부여박물관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한독의약박물관
- 상당산성
- 법주사
-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 단지주혈
- 경주김씨
- 국립청주박물관
- 충북의 문화재
- Today
- Total
목록2021/06 (110)
바람따라 구름따라 가는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Af5Io/btq6p9RxsLy/jl2sX8Vek8chjJz9eA6iw1/img.jpg)
산외면 이식2리에 있는 국회의원 육인수의 송덕비입니다. 비석의 전면에는 국회의원육인수송덕비라고 한글로 새겨져 있습니다. 육인수(1919년12월 3일 - 2001년6월 25일)는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이다. 육영수와 육예수의 친오빠, 육인순의 남동생, 박정희의 손위처남이며, 박근혜, 박근령, 박지만, 홍세표, 홍소자의 외삼촌이다. 종교는 원래는 불교였으나, 언젠가부터 개신교(장로회)로 개종하였다. 1919년, 충북 옥천에서 태어났다. 청주공립고등보통학교(現 청주고등학교), 일본 도쿄 무사시노 고등공업학교를 졸업하였다. 이후 교사로 근무하였다. 1963년 매제 박정희가 집권한 직후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공화당 후보로 충청북도 옥천군-보은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67년 제7대 국회의원 선거,..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MMTK/btq6aO131os/J8hhXaELCdAeowtTT9DQA1/img.jpg)
쇠가 많이 나 쇠실이라 불리던 금곡리는 북으로 신추리, 동쪽은 국사봉, 남으로 조곡리, 서로 회인천 건너 거교리와 접해 있다. 본래 회인군 남면 지역으로 1914년 행 정구역 폐합에 따라 지승동을 병합하여 금곡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쇠실(양지뜸, 웃말, 음지뜸), 느티정, 스승골, 없어진 마을로는 깨박골이 있다. 지명으로는 가래울고개, 고개밑, 느티정골, 돼지골, 두루봉, 뒷날, 마당재, 막은골, 매봉재, 문충묏날, 뭉치미날, 배나무골, 삼박골, 서고개골, 서낭댕이고개, 승곡교, 안산넘어골, 우담탁골, 음지뜸도랑, 중뫼, 큰골, 통뫼산소, 푯대날망 등이 있다. 면적은 2.5km2 로, 대부분 산간지역이다. 50가구에 84명의 주민이 생활하고 있다. 전통을 중시하는 마을, 쇠실 │ 금곡리의 중심마을 쇠..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6Fvbq/btq58ZCMN4I/qgBKdDhj9deLwgdKsaMVmK/img.jpg)
천연기념물 제518호・지정일: 2010년 11월 22일・위치: 회인면 용곡리 산9 고욤나무는 대개 10m 높이로 자란다. 용곡리 고욤나무는 18m나 되며, 우리나라에서 가장 크고 웅장하다. 생활문화와민속적으로 가치가 커서, 2010년 11월에 천연기 념물로 지정되었다. 가슴 높이의 둘레 2.83m, 수관 폭 동서방향 22m, 남북방향 22m 이다. 수령은 약 250년으로 추정된다. 소유자는 건설부 외이며, 관리자는 보은군이다. 고욤나무는 감나무를 접붙일 때 대목으로 주로 사용한다. 열매에는 타닌이 들어 있어 떫은 맛을 내며, 빛깔은 노란색 또는 어두운 자줏빛이다. 덜 익은 것을 따서 저장하였다가 먹기도 한다. 한방에서는 열매를 따서 말린 것을 군천자(君遷子)라 하여 소갈 ・번열증 등에 처방한다. 예부터 ..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qmpqh/btq6fN86jXH/N4wYwcqNpizpUnmr020h3k/img.jpg)
남대문리 앞 논에는 이괄바위라 불리는 바위가 있다. 원래 산에 있던 큰 바위였는데 인조 때 반란을 일으킨 이괄이 죽던 날 뇌성벽력이 일면서 절벽에서 떨어졌다고 한다. 이괄은 선조 때 형조좌랑과 태안군수를 지내고, 1622년 인조반정에 가담해 이듬해 거사에 작전지휘를 맡아 광해군을 몰아내고 인조를 옹립하는데 큰 공은 세운 인물이다. 전해지는 이야기로 비슷한 이야기가 강원도 홍천 이괄산성내에 있는 이괄바위에 대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6oJ8/btq6qRRSvnk/lSFIMWZcNchkgFHEnkQWM1/img.jpg)
애기야 울지마라. 오늘도 엄마는 울며 보채는 애기. 등에 업고 다독이고 있다. 마른 젖 물리면 뭐하리? 이웃 동네로 삯일 나간 남편 기다리며 애기에게 줄수 있는 것은 땀에 절은 작은 등판 밖에 없으니.... 애기야 울지마라. 20210602보은 서지리선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N7IzI/btq6mFX23JP/ktHD9REiP2oo4pCdl5KRF1/img.jpg)
서지리는 면의 동쪽 끝에 자리한다. 북으로 두평리, 산외면 봉계리, 동으로 보은읍 학림리, 남으로 보은읍 산성리, 서로 두평리와 접해있다. 본래 보은군 내북면 지역으로 서지라 불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서지리라 하였다. 자연마을로는 서갖과 터고가 있으며, 지명으로는 갑둔데, 너름골, 노정미골, 뒷개 뜰, 물필봉, 물건너들, 바른골, 성산, 승지골, 장승골, 진사터, 질마재 등이 있다. 마을 앞 보청천 너머로 논이 길게 형성되어 있다. 내북면과 보은읍의 경계에 자리한 서지리 터골 마을 어귀에는 1기의 선돌과 2기의 돌탑이 동-서 방향으로 거의 일직선상에 조성되어 있다. 이 중 서쪽의 돌탑을 1호, 동쪽의 돌탑을 2호라 부르기로 한다. 선돌은 90×45×33cm의 크기로, 끝부분이 뾰족한 석회암 ..